• Original Articles

    Evaluation of Growth, Photosynthetic Pigment, and Nursery Period of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Plug Seedlings under Elevated CO2 Conditions

    고농도 CO2 조건에서 참당귀 플러그 묘의 생육, 광합성 색소 및 육묘기간 평가

    Eun Won Park, Jeong Kil Koo, Hyeong Eun Choi, Hee Sung Hwang, Ji Hye Yun, So Yeong Hwang, Min Su Jeon, Seung Jae Hwang

    박은원, 구정길, 최형은, 황희성, 윤지혜, 황소영, 전민수, 황승재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hoot and root growth, changes i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nursery period of Korean angelica plug seedlings …

    본 연구는 육묘기간과 PFAL 내 CO2 농도에 따른 참당귀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 광합성 색소 변화, 육묘기간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hoot and root growth, changes i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nursery period of Korean angelica plug seedlings under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systems (PFALs). Korean angelica seeds were sown in 72-cell plug trays, and the seedlings were grown for 40, 50, and 60 days to evaluat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The internal CO2 concentrations in PFALs were set at three levels: ambient (475 ± 40 µmol·mol-1), ‘high concentration’ (‘HC’, 758 ± 29 µmol·mol-1), and ‘very high concentration’ (‘VHC’, 1,197 ± 37 µmol·mol-1). CO2 supply started 20 days after sowing when cotyledons were fully extended, and the first true leaf was observed. As a result, from 50 days after sowing, the crown diameter, leaf area, root development,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HC and VHC than in ambient, indicating a faster growth speed.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accumulation between HC and VHC. From a morphological point, VHC had the longest petioles and the widest leaf area at 60 days after sowing, and the canopy expanded horizontally. The chlorophyll a, b,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were also the lowest. Additionally, the leaf area index was higher compared to the ambient, and the specific leaf weight, which indicates leaf thickness, was reduced.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growth speed is fast, resulting in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within the narrow plug tray environment. Therefore, the appropriate CO2 concentration for shortening the nursery period of Korean angelica is considered to be approximately 800 µmol·mol-1 and the appropriate nursery period in 800 µmol·mol-1 condition is 50 days.


    본 연구는 육묘기간과 PFAL 내 CO2 농도에 따른 참당귀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 광합성 색소 변화, 육묘기간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참당귀 종자는 72구 트레이에 파종하였고 파종 후 40, 50, 및 60일차에 참당귀 묘의 형태학적 특징과 엽록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PFAL 내 온도는 22/19℃ (주간/야간)으로 유지되었고 광주기는 12시간이었다. CO2 농도는 ambient (475 ± 40μmol∙mol-1), ‘high concentration’ (‘HC’, 758 ± 29μmol∙mol-1), 그리고 ‘very high concentration’ (‘VHC’, 1,197 ± 37μmol∙mol-1) 세 가지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CO2 공급은 자엽이 완전히 전개되고 본엽이 관측되는 파종 후 20일차에 시작되었다. 파종 후 50일차부터 관부직경, 엽면적, 뿌리발달, 그리고 건물중이 ambient에 비해 HC와 VHC에서 높았으며 이는 생육속도가 빨랐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HC와 VHC 간에 건물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형태학적 관점에서 VHC는 파종 후 60일차에 엽병장이 길고 엽면적이 넓어져 수평적 캐노피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생리적으로는 총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ambient에 비해 엽면적 지수가 높고 잎의 두께를 나타내는 지표인 비엽중이 감소하였다. 이는 생장속도가 빨라져 협소한 플러그 트레이 환경 내에서 개체 간 경쟁이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참당귀의 육묘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적정 CO2 농도는 약 800μmol∙mol-1로 판단되며, 적정 육묘기간은 50일로 사료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Changing Patterns of Phytohormones according to Ripening Stage in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Fruits of Different Sizes and Colors

    크기와 색이 다른 딸기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식물호르몬 변화

    Nam Jun Kang

    강남준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phytohormones according to the fruit ripening process of each cultivar with different color and …

    과실색과 크기가 다른 품종별 성숙단계에 따른 호르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향과 만년설은 완숙기를 기준으로 과실무게가 각각 20.2와 23.0g인데 비해 파인베리는 4.6g으로 과색과 …

    + READ 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phytohormones according to the fruit ripening process of each cultivar with different color and size of fruit, the Seolhyang and Manyeonsul at the mature stages were 20.2 and 23.0 g, respectively, while the Pineberry was 4.6 g, showing a clear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The IAA content tended to increase dramatically until the turning stages in all cultivars, and then decrease during the mature stages. The IAA content of turning stages was 1,542 and 1,487 ng per gram of dry weight in the Seolhyang and Manyeonsul, respectively, while it tended to be lower at 348 ng in Pineberry. The content of GA3 tended to increase to turning stages in all cultivars, and then decrease during the mature stages. The content of GA3 in the turning stages of the Seolhyang and Manyeonsul was 183 and 213 ng per gram of dry weight, respectively, twice as high as 92 ng of Pineberry. The content of zeatin tended to decrease dramatically after the breaker stages in all cultivars. The content of zeatin in the breaker stages decreased by more than 80% to the level of 0.4-0.6 µg in the breaker stages from 3.2 µg of Seolhyang, 2.8 µg of Manyeonsul, and 2.4 µg of Pineberry. The content of ABA was lower in Pineberry than in Seolhyang and Manyeonsul, but it showed a pattern that increased in all cultivars as ripening process progressed. The content of ABA at mature stages of Pineberry was 1.13 µg per gram of dry weight, compared to 4.13 and 3.96 µg in Seolhyang and Manyeonsul, respectively, which were 3.7 and 3.5 times higher. The content of jasmonic acid began to increase as the ripening process progressed in all cultivars and tended to increase rapidly during the mature stages. The content of jasmonic acid in the mature stages of Seolhyang and Manyeonsul was 12.95 and 14.19 ng per gram of dry weight, respectively, compared to 19.94 ng in Pineberry, which tended to be 1.5 and 1.4 times higher. The change in content according to the ripening stages was the highest in the green stages in all cultivars and tended to decrease as the ripening process progressed. However, tne content of salicylic acid was higher in Pineberry with small fruit sizes compared to Seolhyang or Manyeonsul with large fruit sizes.


    과실색과 크기가 다른 품종별 성숙단계에 따른 호르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향과 만년설은 완숙기를 기준으로 과실무게가 각각 20.2와 23.0g인데 비해 파인베리는 4.6g으로 과색과 더불어 과실의 크기에서도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옥신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성숙과 더불어 채색기까지는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숙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색기의 옥신 함량은 설향과 만년설에서는 건물 1g 당 각각 1,542와 1,487ng인데 비해 파인베리에서는 348ng으로 낮은 경향을 보여 과실의 크기에 따른 품종간 차이는 뚜렷하였다. 지베렐린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성숙과 더불어 채색기까지는 증가한 후 완숙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향과 만년설의 채색기 지베렐린 함량은 건물 1g 당 각각 183과 213ng으로 파인베리의 92ng에 비해 2배 수준으로 높았다. 지아틴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변색기 이후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색기의 지아틴 함량은 건물 1g 당 설향이 3.2µg, 만년설이 2.8µg, 파인베리가 2.4µg에서 채색기에는 0.6에서 0.8µg 수준으로 80% 이상이 감소하였다. 앱시스산 함량은 설향과 만년설에 비해 파인베리에서 낮았지만, 성숙이 진행될수록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파인베리의 완숙기 과실의 앱시스산 함량은 건물 1g 당 1.13µg인데 비해 설향과 만년설에서는 각각 4.13과 3.96µg으로 3.7과 3.5배 정도 높은 경향이었다. 자스몬산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성숙과정이 진행될수록 증가하기 시작하여 완숙기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향과 만년설의 완숙기 자스몬산 함량은 건물 1g 당 각각 12.95와 14.19ng인데 비해 파인베리에서는 19.94ng으로 1.5와 1.4배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성숙단계에 따른 살리실산 함량변화는 모든 품종에서 미숙기에서 가장 많았고 성숙과정이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과실의 크기가 큰 설향이나 만년설에 비해 크기가 작은 파인베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Growth and Quality of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Under Controlled Light Intensity in a Plant Factory Nursery System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광도 조절에 따른 수박 접목묘의 생육 및 품질

    Yoon Go, Se Hun Ju, Eun Ji Kim, Young Je Kim, Beom Seon Lee, Haeyoung Na

    고윤, 주세훈, 김은지, 김영제, 이범선, 나해영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and quality of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under different controlled light intensities in a plant …

    본 연구는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광도 조절에 따른 수박 접목묘의 생육 및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박 접수는 고온기 품종 ‘부라보꿀(BK)’, 저온기 품종 …

    + READ 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and quality of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under different controlled light intensities in a plant factory nursery system. The watermelon scion cultivars were used ‘BravoKkul (BK)’ for the high-temperature season and ‘SantaKkul (SK)’ for the low-temperature season. For rootstocks, ‘BullojangSaeng (BS)’ was used for the high-temperature season and ‘DongjangGun (DG)’ for the low-temperature season. Light intensity treatments were applied 125 ± 25, 225 ± 25, and 325 ± 25 µmol·m-2·s-1. The highest plant height was observed at 125 ± 25 µmol·m-2·s-1 for the high-temperature season grafted seedlings (BK+BS) and at 225 ± 25 µmol·m-2·s-1 for the low- temperature season grafted seedlings (SK+DG). Both BK+BS and SK+DG seedlings showed the largest stem diameter and highest number of nodes at 225 ± 25 µmol·m-2·s-1. Root length and leaf area were greatest at 325 ± 25 µmol·m-2·s-1 for BK+BS and at 225 ± 25 µmol·m-2·s-1 for SK+DG.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s were highest at 225 ± 25 µmol·m-2·s-1 during both high- and low-temperature seasons. The compactness of seedlings increased with higher light intensities in both cultivars, particularly noticeable in BK+BS. Leaf area ratio (LAR)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in BK+BS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DG. Overall,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optimal at 225 ± 25 µmol·m-2·s-1, although considering seedling quality, more robust seedlings were produced at 325 ± 25 µmol·m-2·s-1.


    본 연구는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광도 조절에 따른 수박 접목묘의 생육 및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박 접수는 고온기 품종 ‘부라보꿀(BK)’, 저온기 품종 ‘산타꿀(SK)’을 사용하였고, 대목으로 고온기 품종 ‘불로장생(BS)’, 저온기 품종 ‘동장군(DG)’을 사용하였다. 광도는 125 ± 25, 225 ± 25 및 325 ± 25µmol·m-2·s-1 3처리로 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장은 고온기 접목묘가 125 ± 25µmol·m-2·s-1, 저온기 접목묘가 225 ± 25µmol·m-2·s-1에서 가장 높았고, 줄기 직경과 마디수는 고온기 접목묘, 저온기 접목묘 모두 225 ± 25µ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근장과 엽면적은 고온기 접목묘에서 325 ± 25µmol·m-2·s-1, 저온기 접목묘는 225 ± 25 µ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225 ± 25µ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충실도는 두 품종 모두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특히 고온기 접목묘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엽면적비(LAR)는 고온기 접목묘에서 광도 증가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저온기 접목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합적으로 생육 특성은 225 ± 25µmol·m-2·s-1에서 높았으나, 묘소질을 고려했을 때 325 ± 25µmol·m-2·s-1에서 더욱 강건한 묘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and Functional Compound Content by Shoot Length Oenanthe javanica DC.

    미나리 초장별 영양성분 및 기능성 물질 함량 분석

    Se Hun Ju, Yoon Go, Eun Ji Kim, Young Je Kim, Beom Seon Lee, Haeyoung Na

    주세훈, 고윤, 김은지, 김영제, 이범선, 나해영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functional compounds and nutritional value of Oenanthe javanica DC. (water dropwort) can be maintained when …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를 초장별(20cm, 30cm, 40cm, 50cm)로 재배할 경우 기능성 물질과 영양학적 가치가 유지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나리는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functional compounds and nutritional value of Oenanthe javanica DC. (water dropwort) can be maintained when cultivated in a plant factory at different shoot lengths (20, 30, 40 and 50 cm) while also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stable, year-round production using this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potassium (K) and calcium (Ca) contents were highest at a shoot length of 30 cm, where vitamin C content also peaked at 1,165.38 mg·kg-1. Total polyphenol content remained at similar levels for shoot lengths of 20–40 cm but showed a decreasing trend at 50 cm. The functional compounds quercetin, apigenin, and isorhamnetin exhibited minimal variation across different shoot lengths, confirming that short-term cultivated, shorter shoot-length water dropwort retains a sufficient amount of functional compounds. Additionally, dietary fiber content remained stable at over 300 mg·kg-1 across all shoot lengths, highlighting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vegetable. In conclusion, water dropwort cultivated at a 30 cm shoot length in a plant factory maintains high nutritional value and bioactivity. Compared to conventional open-field cultivation, it enables stable, year-round production, demonstrating significant industrial applicability.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를 초장별(20cm, 30cm, 40cm, 50cm)로 재배할 경우 기능성 물질과 영양학적 가치가 유지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나리는 항산화 효과, 항염증, 간 보호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춘 기능성 채소로, 기존 재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중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 재배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초장 30cm에서 칼륨(K)과 칼슘(Ca)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비타민 C 함량 또한 1,165.38mg·kg-1으로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장 20-40cm에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초장 50cm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능성 물질인 Quercetin, Apigenin, Isorhamnetin 함량은 초장에 따른 변동 폭이 크지 않아, 단기 재배된 초장이 짧은 미나리도 충분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이섬유 함량 또한 모든 초장에서 일정 수준(300g·kg-1 이상)을 유지하여 건강 기능성 채소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식물공장에서 초장 30cm로 재배된 미나리는 높은 영양 가치와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노지재배 방식과 비교해 연중 균일한 생산이 가능하여 산업적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Analysis of Energy Load according to Design Variables of Building-integrated Rooftop Greenhouse using Building Energy Simulation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건물 통합형 옥상온실의 설계변수에 따른 에너지 부하 분석

    Jin-seok Lee, In-bok Lee, Da-in Jeong, Jeong-hwa Cho, Hyo-hyeog Jeong, Young-bae Choi

    이진석, 이인복, 정다인, 조정화, 정효혁, 최영배

    Rooftop greenhouses are gaining attention as a form of urban agriculture that saves energy. Both greenhouses and buildings require heating and cooling …

    식량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분의 1 수준이다. 식량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여 푸드 마일리지를 절감하는 것은 도시의 지속 …

    + READ MORE
    Rooftop greenhouses are gaining attention as a form of urban agriculture that saves energy. Both greenhouses and buildings require heating and cooling to maintain the indoor environment. Integrated system operation of buildings and greenhouses can reduce costs by sharing facilities and utilize energy by transferring energy between buildings and greenhouses.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studies of various integrated system have been conducted using building energy simulation, but verification and design parameter analysis of actual integrated systems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energy savings according to design variables through building energy simulation.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rooftop greenhouse in Seongsu-dong, Seongdong-gu, Seoul, Korea. The indoor temperature data was used to validate the building energy simulation model, which showed a result of R2 = 0.91. The effects of the design variables were then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nergy load tended to decrease when the integrated system was operated than when it was operated independ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energy load can be reduced when installing an integrated system, and urban agriculture can become an efficient energy utilization system. When the thermal infiltration rate of the building's roof was increased from 0.251 W/m2-K to 1.535 W/m2-K, weaken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the energy load of the rooftop greenhouse and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tended to decrease. When installing an integrated system, designing it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t the boundary is considered favorable for reducing the energy load. When the rooftop greenhouse area was increased by 2.53 times, the energy load per unit area tended to decrease. Although the amount of energy load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area, it is judged that the energy load reduction of the integrated system is possible due to the increase in heat exchang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greenho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reducing energy load through integrated systems. In future research, additional measures will be needed to utilize rooftop greenhouses as a solution to energy and food problems due to climate change.


    식량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분의 1 수준이다. 식량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여 푸드 마일리지를 절감하는 것은 도시의 지속 가능성과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옥상 온실은 푸드 마일리지를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도시농업의 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온실과 건물 모두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냉난방이 요구된다. 건물과 온실의 통합 시스템 운영은 설비 공유로 인한 비용 절감, 건물과 온실 간 에너지 이동으로 인한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다.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다양한 통합 시스템 에너지 성능 평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실제 통합 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설계변수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옥상온실의 설치 유무, 옥상의 단열 성능 및 설치 면적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장 실험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의 옥상온실에서 수행되었다. 측정한 실내 온도를 통해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모델을 검증하였고 R2 = 0.91의 결과를 보였다. 이후 설계변수가 에너지 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통합 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경우보다 에너지 부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통합 시스템 설치 시 에너지 부하 절감 효과가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하는 도시농업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건물 옥상의 열관류율을 0.251W/m2·K에서 1.535W/m2·K로 증가시켜 단열 성능을 약화시킨 경우, 옥상온실과 건물 최상층의 에너지 부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통합 시스템 설치 시 경계면의 열 교환이 증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에너지 부하 절감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옥상온실 면적을 2.53배 증가시켰을 때 단위면적당 에너지 부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온실 면적 증가로 인해 에너지 부하량은 증가하지만, 건물과 온실의 열 교환이 증가하여 통합 시스템의 에너지 부하 절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 시스템을 통한 에너지 부하 절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에너지, 식량 문제의 해결 대책으로 옥상온실을 활용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Optimal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for Plug Seedling Production of Ball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도라지 공정 육묘를 위한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 내 최적 광도와 광주기

    Jeong Hun Hwang, Eun Won Park, Hee Sung Hwang, Jeong Kil Koo, Hyeong Eun Choi, Ji Hye Yun, Seung Jae Hwang

    황정훈, 박은원, 황희성, 구정길, 최형은, 윤지혜, 황승재

    Platycodon grandiflorum is a medicinal plant primarily cultivated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re high in saponins. …

    도라지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도라지의 뿌리는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기관지 보호에 효과가 좋아 약재로 이용이 많이 될 뿐만 …

    + READ MORE
    Platycodon grandiflorum is a medicinal plant primarily cultivated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re high in saponins. This making them effective for protecting the respiratory system, which is why they are extensively used as medicinal materials, as well as in processed food and cosmetics. However, a proper lighting environment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CPPS)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al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for Platycodon grandiflorum. The seedlings were cultivated in a walk-in chamber at 24.9 ± 0.9°C temperature and 53.7 ± 10.9% relative humidity for 48 days. Light intensities of 100, 150, and 200 ± 10 µmol·m-2·s-1 were used, along with photoperiods of 10/14, 12/12, and 14/10 h (light/dark). The highest growth of the shoot was observed at the highest light intensity of 200 µmol·m-2·s-1,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hotoperiods of 12/12 and 14/10 h. In 200 µmol·m-2·s-1, the internode length at photoperiod of 12/12 h was significantly shorter compared to the photoperiod of 14/10 h. In 200 μmol·m-2·s-1, the root characteristics showed enhanced growth at photoperiod of 14/10 h compared to photoperiod of 12/12 h. In conclusion, a light environment of 200 µmol·m-2·s-1 with a photoperiod of 12/12 h is deemed suitable for the plug seedling production for seedling of Platycodon grandiflorum.


    도라지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도라지의 뿌리는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기관지 보호에 효과가 좋아 약재로 이용이 많이 될 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라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 내 적정 광 환경에 대한 기초 데이터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라지의 광도와 광주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라지는 온도 24.9 ± 0.9℃, 상대습도 53.7 ± 10.9%의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48일간 육묘하였다. 광도는 100, 150 및 200 ± 10µmol·m-2·s-1 그리고 광주기는 10/14, 12/12, 14/10h(명기/암기)로 처리하였다. 가장 높은 광도인 200µmol·m-2·s-1에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12/12와 14/10h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00µmol·m-2·s-1에서 광주기 12/12h의 절간장은 14/10h보다 유의적으로 짧았다. 200µmol·m-2·s-1에서 지하부 생육의 경우 광주기 12/12h보다 14/10h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200µmol·m-2·s-1, 12/12h는 도라지 공정 육묘의 광 환경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The Effects of Microgravity on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nose of Lettuce

    미세중력이 상추의 생장 및 엽록소 형광 반응에 미치는 영향

    Sang-Min Kim, Jung-Hoo Kook, Oluwasegun Moses Ogundele, Jung-In Choi, Hyeon-Tae Kim

    김상민, 국중후, 오군델레올루와세군 모세스, 최정인, 김현태

    As scientific interest extends beyond Earth, research on space agriculture has become essential for supporting human survival in extra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study …

    지구를 넘어선 과학적 관심이 확장됨에 따라, 우주 농업에 대한 연구는 외계 환경에서 인간 생존을 지원하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2차원 …

    + READ MORE
    As scientific interest extends beyond Earth, research on space agriculture has become essential for supporting human survival in extra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ltered gravity on lettuce growth and photosynthesis using a 2-D clinostat. Plants were placed at the center, 6 cm, and 12 cm from the rotation axis and compared to a control over nine days. Growth was assessed via leaf length and width,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OJIP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photochemical indicators. While leaf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leaf width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 6 and a 12 groups. These groups also showed reduced photosystem II (PSII) activity and electron transport efficiency, indicating increased photosynthetic stress and decreased energy use. Elevated fluorescence at the J and P steps highlighted the photosynthetic system’s sensitivity to greater radial distances. This study offers quantitative insights into plant responses under gravity-compensated condition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optimizing space farming systems.


    지구를 넘어선 과학적 관심이 확장됨에 따라, 우주 농업에 대한 연구는 외계 환경에서 인간 생존을 지원하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2차원 클리노스테이트(2-D clinostat)를 이용하여 중력 변화가 상추의 생장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식물은 회전축의 중심, 6cm, 12cm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었으며, 대조군과 함께 9일 동안 비교되었다. 생장은 엽장 및 엽폭을 통해 평가하였고, 광합성 반응은 OJIP 엽록소 형광 및 광화학 지표를 통해 분석하였다. 엽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엽폭은 6cm 및 12cm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들 처리구에서는 광계 II(PSII) 활성과 전자 전달 효율이 감소하여 광합성 스트레스 증가와 에너지 이용 효율 저하를 나타냈다. 특히, J단계와 P단계에서의 형광 증가 현상은 더 큰 반경 거리에서 광합성계의 민감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력 보상 조건 하에서 식물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정량적 통찰을 제공하며, 우주 농업 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Strawberry Seedlings Under Flower-inducing and Non-inducing Conditions

    꽃눈 분화 유도 조건에 따른 딸기 묘의 형태적 및 생리학적 변화

    Jean Nepo Ndikumana, Young Hun Lee, Hyoung Seok Kim, Young Rog Yeoung

    다쿠마나진 네포, 이영훈, 김형석, 용영록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eolhyang’ strawberry seedlings to two distinct environments: a flower-inducing condition (short-day, 15°C nighttime temperature) …

    본 연구는 ‘설향’ 딸기 유묘를 대상으로, 꽃눈 분화 유도 조건(단일일장, 야간 15°C)과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에서의 형태적 및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여, 꽃눈 분화와 …

    + READ MORE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eolhyang’ strawberry seedlings to two distinct environments: a flower-inducing condition (short-day, 15°C nighttime temperature) and a non-flower-inducing condition (continuous light and 24-25°C temperature) during the critical flower initiation period. The seedlings were monitored for phenotypic variation, dry matter, and soluble sugar distribution. The results, analyzed vi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aired t-tests, suggested that a larger crown diameter, increased root biomass, and higher leaf chlorophyll concentration may be prominent early indicators of the reproductive stage of strawberry seedlings. In contrast, increases in traits such as leaf number, leaf area, shoot fresh weight, and number of runners might indicate a more robust vegetative phas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se morphological adaptations are linked to physiological shifts that enhance or diminish the capacity of plants to initiate flowering under favorable conditions.


    본 연구는 ‘설향’ 딸기 유묘를 대상으로, 꽃눈 분화 유도 조건(단일일장, 야간 15°C)과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에서의 형태적 및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여, 꽃눈 분화와 관련된 주요 생장 지표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유묘는 15일간 각각의 환경 조건에 따라 처리된 후, 모든 처리구를 동일한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 하에 배양하며 총 49일간 관찰하였다. 관부 직경, 잎 수, 엽면적, 런너 수 등 형태적 지표와 함께 건물중 분포, 엽록소 농도(SPAD), 가용성 당(자당, 포도당, 과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꽃눈 분화 유도 처리군은 관부 직경과 뿌리 생체량, 잎의 엽록소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생식 생장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초기 지표로 판단되었다. 반면, 비유도 조건에서는 잎 수, 런너 수, 줄기 생체중, 엽면적이 증가하여 영양생장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도 처리 28일 이후 관부 내 자당 농도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꽃눈 분화 개시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환경 조건에 따른 딸기 유묘의 생장 반응 차이를 규명하고, 꽃눈 분화 예측과 정식 시기 결정을 위한 유용한 생리적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환경 제어 기반의 효과적인 유묘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Controlling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in Balloon Flower and Lance Asiabell Seedling using Different Light Qualities

    다양한 광질을 이용한 도라지와 더덕 묘의 초장 및 절간장 조절

    Jeong Hun Hwang, Eun Won Park, Jeong Kil Koo, Hee Sung Hwang, Jin Yu, Ji Hye Yun, So Yeong Hwang, Hyeong Eun Choi, Young Ho Yoon, Kyung Sook Han, Eun Song Lee, Seung Jae Hwang

    황정훈, 박은원, 구정길, 황희성, 유진, 윤지혜, 황소영, 최형은, 윤영호, 한경숙, 이은송, 황승재

    The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and lance asiabell (Codonopsis lanceolata) are medicinal crops primarily cultivated in …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광질은 작물의 광형태형성을 조절하며, 그 반응은 …

    + READ MORE
    The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and lance asiabell (Codonopsis lanceolata) are medicinal crops primarily cultivated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light quality regulates photomorphogenesis of crops. The response to light quality varies in different crops; therefore, optimizing the light quality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CPPS) is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optimize light quality for growing balloon flower and lance asiabell seedlings in a CPPS application. We evaluated the effects of red, green, blue, red-green (RG), green-blue (GB), red-blue (RB), red-green-blue (RGB), and white lights, under the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maintaining temperature of 25 ± 0.6°C, relative humidity of 55 ± 4.7%, photoperiods of 16/8 h (light/dark),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of 110±5 µmol·m-2·s-1. RGB light induced vigorous shoot and root growth in balloon flower seedlings, with short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In GB and RGB lights, lance asiabell seedlings exhibited improved shoot and root growth, with shorter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than the other lights. Leaf area estimation using multispectral imaging revealed a highe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balloon f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light quality suitable for cultivating balloon flowers and lance asiabells in a CPPS.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작물이다. 광질은 작물의 광형태형성을 조절하며, 그 반응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CPPS)에서 작물에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와 더덕묘를 CPPS 조건에서 재배할 때 적합한 광질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red, green, blue, red-green (RG), green-blue (GB), red-blue (RB), red-green-blue (RGB) 그리고 white lights를 이용하여 광질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환경은 온도 25±0.6℃, 상대습도 55±4.7%, 광주기 16/8시간(명/암),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PFD) 110±5μmol·m-2·s-1로 제어하였다. 도라지묘는 RGB 광 처리 시 초장과 엽간장는 짧지만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왕성하였다. 더덕묘는 GB 및 RGB 광 처리 시 다른 광질보다 짧은 초장과 절간장을 유지하면서도 지상부 및 뿌리 생장이 개선되었다. 다분광영상(multi-spectral imaging)을 활용한 엽면적 분석에서는 도라지에서 결정계수(R²)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CPPS에서 도라지와 더덕 재배에 적합한 광질을 선정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Growth Inhibition in Leaf Perilla Induced by Phosphorus Deficiency under Hydroponic Conditions

    인산 결핍이 수경재배 잎들깨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Jin-Hyeon Kim, Yeon-Ju Choi, Jum-Soon Kang

    김진현, 최연주, 강점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osphorus (P) deficiency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eep Flow Technique, DFT)로 재배된 잎들깨(Perilla frutescens)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인산결핍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산 결핍 처리는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osphorus (P) deficiency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cultivated hydroponically using the deep flow technique (DFT). Phosphorus deprivation was induced by modifying the standard Yamazaki nutrient solution to create five deficiency levels: 0% (control), 30%, 50%, 70%, and 100%. Significant reductions i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number of nodes, and stem diameter were observed with increasing P deficiency from 20 to 80 days after treatment. At 80 days, complete phosphorus deficiency (100%) resulted in a severe suppression of growth, reducing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to 10.1 cm and 2.7 leaves per plant, respectively, compared to 73.5 cm and 12.8 leaves in the control. Fresh and dry weight also declined drastically under phosphorus-deficient conditions. Total fresh weight dropped from 93.4 g in the control to 2.1 g under 100% deficiency, while dry weight decreased from 11.8 g to 0.4 g per plant.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Chlorosis and necrosis of lower leaves were prominent under high deficiency level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phosphorus in supporting vegetative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in leaf perilla and provide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optimizing nutrient formulations in hydroponic systems to ensure sustainable crop productivity.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eep Flow Technique, DFT)로 재배된 잎들깨(Perilla frutescens)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인산결핍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산 결핍 처리는 야마자키 표준 배양액을 수정하여 0% (대조구), 30%, 50%, 70%, 100%의 5 수준으로 달리 조성하였다. 처리 20일부터 80일까지 인산 결핍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수, 마디 수, 경직경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80일째에는 100% 인산 결핍 처리에서 초장이 10.1cm, 엽수는 식물체당 2.7장으로 급감하였으며, 이는 대조구의 73.5cm 및 12.8장에 비해 현저한 생장 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인산 결핍 조건에서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의 생체중은 93.4g 이었으나 100% 인산결핍 처리구에서는 2.1g으로, 건물중은 11.8g에서 0.4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인산 결핍 정도가 증가할수록 하부엽에서 황화(Chlorosis) 및 괴사(Necrosis)와 같은 생리장해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산이 잎들깨의 영양생장과 건물생산량 증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나타내었다.

    - COLLAPSE
    30 April 2025
  • Original Articles

    Reproductive Growth Response of Dwarf Tomatoes with Negative Air Ion in Vertical Farms

    수직농장에서 음이온 처리를 통한 왜성 토마토의 생식생장 반응

    Moon-Sun Yeom, Hye-Won Jeon, Myung-Min Oh

    염문선, 전혜원, 오명민

    Negative air ion (NAI) is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s known to affect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Since most studies on …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 상업적 생산에 적합한 왜성 토마토를 대상으로 음이온을 처리하고, 생육단계별(영양생장, 생식생장) 생육 특성과 기체교환 활성 반응을 분석하여, 과채류에 대한 음이온의 …

    + READ MORE
    Negative air ion (NAI) is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s known to affect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Since most studies on plant responses to NAI have focused on leafy vegetabl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NAI to fruiting vegetables by analyzing growth characteristics and gas exchange activity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vegetative and reproductive–in dwar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Nurimaru F1’) cultivated in a vertical farm. Dwarf tomato seedlings were grown for five weeks under the following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24°C air temperature, 60% relative humidity, 600 µmol·mol-1 CO2 concentration, 320 µmol·m-2·s-1 PPFD from white LED lighting, and a 16-hour photoperiod. During the light period, NAI were applied at a concentration of 12 × 10⁵ ions·cm-3. Growth parameters were measured weekly for five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were recorded weekly for four weeks. As a result,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s exchange were observed, the NAI-treated plants consistently showed higher numerical values than the control. Vegetative growth traits showed no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NAI. However, reproductive traits (number of inflorescences, flowers, and fruit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NAI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I can promote reproductive development and increase the fruit yield of dwarf tomatoes, implying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vertical farming for the production of fruiting vegetables.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 상업적 생산에 적합한 왜성 토마토를 대상으로 음이온을 처리하고, 생육단계별(영양생장, 생식생장) 생육 특성과 기체교환 활성 반응을 분석하여, 과채류에 대한 음이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왜성 토마토 묘를 온도 24도, 습도60%, 이산화탄소 농도 600μmol·mol-1, 광도 320μmol·m-2·s-1 PPFD, white LED, 광주기16h의 수직농장 모듈에서 5주간 재배하였다. 음이온은 광주기 시간동안 12 × 105ions∙cm-3의 음이온을 처리하였다. 정식 후 5주 동안 매주 생육조사를 진행하였고, 정식 후 4주 동안 매주 광합성율과 증산율을 측정하였다. 정식 1주차 광합성율은 음이온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에는 광합성율과 증산율 모두 처리구간 유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음이온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생장 지표들은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생식 기관의 발달(화방수, 꽃수, 과실수)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음이온 처리가 과채류인 왜성 토마토의 생식생장을 촉진하고 과실 생산량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여, 과채류에 음이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음이온 처리 농도의 최적화 및 수확한 과실의 품질 비교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COLLAPSE
    30 April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