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s
-
Comparison of Root-Zone Temperature, Growth and Yield of Arugula (Eruca sativa L),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Basil (Ocimum basilicum L.), and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Forsk.) Cultivated with Aeroponic System under Different Nutrient Solution Heating Temperatures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저온기 루꼴라, 고수, 바질, 공심채 분무경 재배 시 양액 가온 온도에 따른 근권부 온도 변화와 생육 및 수량 비교
-
Se Jin Kim, Mi Young Lim, Gyeong Lee Choi, Mi Young Roh, Dongpil Kim
김세진, 임미영, 최경이, 노미영, 김동필
-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the growth and yield of leafy vegetables can decline due to low temperature and lack of sunlight. Cold …
저온기 엽채류 생산시 저온, 저광 등으로 인해 생육 저하 및 수량 감소가 발생한다. 저온기 근권부 가온을 통해 지상부 저온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생육 …
-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the growth and yield of leafy vegetables can decline due to low temperature and lack of sunlight. Cold stress can be alleviated and the growth and yield of crop can be improved by heating root-zone temperature.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aromatic leafy vegetables-including arugula (Eruca sativa L.),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basil (Ocimum basilicum L.), and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Forsk.) – emphasized the need for year-round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heating on root-zone temperature control, as well as its impact on shoot growth and y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glass greenhouse located in Haman, Gyeongnam, Korea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Seedlings of four aromatic leafy vegetables were transplanted onto aeroponics bed and treatments were set for heating nutrient solution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20°C(NSH20), 25°C(NSH25), 30°C(NSH30). The nutrition solution followed PBG composition for leaf vegetables and was continuously recirculated without discharge. Ionic concentrations and properties of the nutrient solution were investigated every three days, and growth and harvest measurements were taken at two and four weeks after transplanting.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mean of minimum, mean, and maximum temperature per day inside the greenhouse were 13.75°C, 18.66°C, and 30.08°C, respectively. The lowest temperature was recorded at 9.97°C. In the control, the mean of root-zone temperature was 17.17°C and the lowest of root-zone temperature was 13.35°C, which could potentially prevent root development and reduce shoot growth due to cold stress. The average root-zone temperatures were 24.61°C in NSH30, 21.41°C in NSH25, and 18.62°C in NSH20.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and yield were observed in cool-season grown vegetables, arugula and coriander, across the four different root-zone temperatures. In contrast, for warm-season grown vegetables, basil and water spinach, showed improved growth and yield with increasing root-zone temperature. Basil showed similar improvements at 25°C and 30°C, indicating that 25°C is sufficient and more energy-efficient. Water spinach showed a 107% yield increase in NSH30 compared to the control, and a 60% increase compared to NSH25, suggesting that maintaining a higher root-zone temperature is more suitable for maximizing its productiv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crop-specific root-zone temperature management in aeroponics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s.
- COLLAPSE
저온기 엽채류 생산시 저온, 저광 등으로 인해 생육 저하 및 수량 감소가 발생한다. 저온기 근권부 가온을 통해 지상부 저온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생육 및 수량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루꼴라, 고수, 바질, 공심채 등 향신채소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연중 생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액 가온을 통한 근권부 온도 제어 효과와 지상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저온기 경남 함안에 위치한 유리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루꼴라, 고수, 바질, 공심채를 분무경베드에 정식하여 무처리 대조구와 양액 가온 설정온도별 처리구(NSH20, NSH25, NSH30)를 설정하였다. 양액 조성은 PBG 엽채류 조성을 따랐으며 재배기간 동안 폐기 없이 표준 양액(EC 1.8, pH 5.5)으로 보충하여 사용하였다. 양액의 특성 및 이온 농도는 약 3일 간격으로 분석하였으며, 작물의 생육 및 수확 조사는 각각 정식후 2주와 4주차에 수행하였다. 재배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일일 최저, 평균, 최고 온도는 각각 13.75℃, 18.66℃, 30.08℃였으며, 재배 기간 중 온실 내 최저 온도는 9.97℃였다. 대조구의 근권부 온도는 최저 13.35℃, 평균 17.17℃로 근권부 저온으로 인한 뿌리 생육 저하, 지상부 생육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설정 온도별 가온 양액을 공급한 경우 근권부 평균 온도는 NSH30는 24.61℃, NSH25는 21.41℃, NSH20는 18.62℃였다. 호냉성 작목인 루꼴라와 고수는 근권부 온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호온성 작목인 바질과 공심채는 양액 가온을 통한 근권부 온도 제어시 생육 및 수량 개선이 확인되었다. 바질은 NSH25와 NSH30 처리구에서 유사한 생육 및 수량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했을 때 양액 가온 온도를 25℃로 설정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근권부 온도 관리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공심채는 NSH30에서 수량이 대조구 대비 107%, NSH25 대비 60% 증가한 것으로 보아 양액 가온 설정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Comparison of Root-Zone Temperature, Growth and Yield of Arugula (Eruca sativa L),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Basil (Ocimum basilicum L.), and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Forsk.) Cultivated with Aeroponic System under Different Nutrient Solution Heating Temperatures during Low Temperature Season
-
Original Articles
-
Environmental Analysis of Tomato Hydroponic Greenhouse Exposed to Winter-Season Low Temperature and Radiation in Eastern Jeju
제주 동부지역 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의 겨울철 저온저일조 환경 분석
-
Su-Hyun Choi, Seo-A Yoon, Young-Jin Yoo, Eun-Young Choi
최수현, 윤서아, 유영진, 최은영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plan for stable fruit vegetable production under the low-radiation climate condition by analyzing the light, wet …
본 연구는 전국에서 일조시간이 가장 짧은 제주 동부지역의 저온기에 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의 광량, 습공기 및 근권 온도 특성을 분석하여 저온기의 저일조 조건에서 …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plan for stable fruit vegetable production under the low-radiation climate condition by analyzing the light, wet air and root-zon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omato hydroponic greenhouse located in the eastern region of Jeju, which has the shortest daylight hours in Korea during the low-temperature perio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wo times from Oct., 2022 to Jan., 2023 and from Nov. 2024 to Jan. 2025, in the greenhouse covered with the PO film and managed with the integrated environment control system. The time when the solar radiation reached to internal greenhouse higher than 100 W·m-2 was in the order of Nov. (9:00, 114 W)> Dec. (10:00, 110 W)> Jan. (11:00, 104 W) in the experiment of 2022 to 2023, and it was similar among the Nov. (10:00, 107 W), Dec. (10:00, 90 W) and Jan. (10:00, 104 W) in the experiment of 2024 to 2025. When the average daily integrated radiation was measured above the 850 J·cm-2·day-1, the total 12, 6, and 9 days were measured during the Nov., Dec. of 2022 and Jan. 2023, respectively, and 12, 9, and 13 days during the Nov., Dec. of 2024, and Jan. 2025, respectively, indicating a serious low-radiation environment. The VPDs (Vapor pressure deficit) were maintained at the appropriate level of 5.4 to 8.8 mbar and 5.7 to 9.8 mbar at the Jan. of 2023 and 2025, respectively, and the transpiration rate was decreased by 2 fold as the VPD decreased by 2.5 times.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0.2 to 0.6°C every hour after sunrise with the highest value (16°C) at the 16:00. The difference in CO2 concentration (Ci-Co)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greenhouses showed -84 µmol·mol-1 (10:00) on sunny days and 0.2 µmol·mol-1 (14:00) on the cloudy days when the CO2 supplement was not conducted. All the integrated results suggest that the root-zone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are limiting factors under the lack of radiation at the low temperature, and thus technical alternatives, such as efficiency temperature management and CO2 supplemen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is problem.
- COLLAPSE
본 연구는 전국에서 일조시간이 가장 짧은 제주 동부지역의 저온기에 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의 광량, 습공기 및 근권 온도 특성을 분석하여 저온기의 저일조 조건에서 안정적인 과채류 생산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PO 필름 단동형 복합환경제어 온실에서 2022년 10월 30일-2023년 1월 31일, 2024년 11월-2025년 1월까지 2회 실시하였다. 온실 내부에 100W·m-2 이상의 광량이 도달하는 시간은 2022-2023년의 경우 11월(9시, 114W)> 12월(10시, 110W)> 1월(11시, 104W) 순으로 1월에 11시로 가장 늦었으며, 2024-2025년의 경우 11월(10시, 107W), 12월(10시, 90W), 1월(10시, 104W)이 유사하였다. 일평균 누적광량은 850J·cm-2·day-1 수준 이상으로 측정된 날수가 2022년 11월, 12월과 2023년 1월에 각각 12, 6, 9일이었고, 2024년에는 각각 12, 9, 13일로 심각한 저일조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23년과 2025년 1월의 VPD 범위는 각각 5.4-8.8mbar, 5.7-9.8mba로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증산율은 VPD가 2.5배 낮아짐에 따라 Tr 값이 2배 감소하였다. 배지 온도는 2023년 1월에 일출 후 시간당 0.2-0.6℃씩 증가하여 16℃로 가장 높았다. 온실 내·외부 CO2 농도차(Ci-Co)는 CO2 시비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맑은날은 -84µmol·mol-1(10시), 흐린 날도 0.2µmol·mol-1(14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저온기의 저일조 환경에서 광량 부족으로 인한 낮은 근권 온도와 CO2 농도가 작물의 광합성과 생장에 제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Environmental Analysis of Tomato Hydroponic Greenhouse Exposed to Winter-Season Low Temperature and Radiation in Eastern Jeju
-
Original Articles
-
A Study on CFD Analysis of Airflow Fan with Electric Heating Wire in Apple Orchard
사과원에서의 전기 열선 공기유동팬의 CFD 해석에 관한 연구
-
Sung-Hyun Yum, Sang-Cheol Choi, Byeong-Gap Kim, Hong-Ki Yoon, Kyeong-Jin Kang
염성현, 최상철, 김병갑, 윤홍기, 강경진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an used to prevent frost damage in orchards, five two-staged fans with electric heating wires that …
과원 서리 피해 예방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 열선 공기유동팬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지붕형 방풍 시설이 설치된 896m2 (= 폭 28m × 길이 …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an used to prevent frost damage in orchards, five two-staged fans with electric heating wires that could blow the horizontal wind were installed in an apple orchard measuring 896 m2 (=28 m× 32 m) with windbreak nets surrounded by on all sides. The distribution of wind speed and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s of the fan was predicted using a commercial ANSYS CFX code. The apple trees were modeled in three dimensions and the outlet wind speed and air temperature of the fan were measured for boundary conditions in a frosty apple orchard. In the cases for the heights of the fan and two combinations of its wind direction, the predictions showed that there appeared a wind speed of 0.5 m·s-1 up to 18m along tree rows and that the two-staged fan was necessary as there was a limit to the formation of airflow by applying either the upper or the lower fan. Meanwhile, as the wind blew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tree rows in which the flow resistanc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tree rows, it has been shown that the wind of 0.9 m·s-1 affected up to 21m(=3.5 m×6 rows) and that the lower fan alone were able to form an effective airflow. The range of airflow influence was narrow, hence it was clear that the 360-degree rotating fan should be applied. Whether frost prevention by two-staged fans with electric heating wires can be effective remains an open question so that verification field tests including the investigations into the microclimates should b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for additional heat sources due to the limit of air mixing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 COLLAPSE
과원 서리 피해 예방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 열선 공기유동팬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지붕형 방풍 시설이 설치된 896m2 (= 폭 28m × 길이 32m) 규모의 사과원에 수평으로 바람을 토출하는 2단(상·하단) 공기유동팬 5개를 설치하고 사과나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팬의 작동 방식에 따른 과원 내 풍속과 기온 분포를 상용 ANSYS CFX 코드로 전산 해석하였다. 공기유동팬의 풍속과 기온을 비닐온실과 서리가 내린 사과원에서 실측하고 CFD 해석의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였다. 공기유동팬의 높이(2.15m와 3.70m)와 풍향(주간 방향과 열 방향) 조합에 대하여 과원 내 풍속·기온 분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간 방향으로 2단 공기유동팬을 이용해 바람을 토출하는 경우 팬 출구로부터 두 번째 공기유동팬이 위치하는 18m 지점까지 0.5m·s-1 수준의 바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단 또는 하단 공기유동팬 적용만으로는 과원 전체 기류 형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은 열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 21m(= 3.5m × 6칸) 지점까지 0.9 m·s-1 수준의 바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면부로 바람을 토출하는 공기유동팬의 특성상 공기유동 영향 범위가 나무의 크기 수준에 불과하므로 과원 전체에 기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공기유동팬을 360° 회전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공기유동팬 작동에 따른 미기상환경 조사와 함께 서리 예방을 위한 전기열원의 적정 용량 설정 및 수평 바람 토출 공기유동팬의 상·하층부 공기 혼합 한계로 인한 추가 열원에 대한 효용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A Study on CFD Analysis of Airflow Fan with Electric Heating Wire in Apple Orchard
-
Original Articles
-
Influence of Nitrate-Nitrogen Deficiency on Leaf Perilla Growth under Hydroponic Conditions
질산태 질소 결핍이 수경재배 잎들깨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Jin-Hyeon Kim, Sang-Rim Kim, Faraaz Ahmed Mohammad, Jum-Soon Kang
김진현, 김상림, 모함마드파라즈 아흐메드, 강점순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itrate-nitrogen (NO3-N) deficiency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cultivated …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FT, Deep Flow Technique) 조건에서 질산태 질소(NO3-N) 결핍이 Perilla frutescens Britt.(잎들깨)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itrate-nitrogen (NO3-N) deficiency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cultivated under deep flow technique (DFT) hydroponic conditions. Plants were grown with five levels of nitrate-nitrogen deficient conditions 0% (control), 30%, 50%, 70%, and 100% by modifying the Yamazaki standard nutrient solution. From 20 to 80 days after treatment initiatio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number of nodes, and stem diameter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nitrate-nitrogen deficiency. At 80 days, plants subjected to 100% NO3-N deficiency exhibited marked growth inhibition, with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number of nodes, and stem diameter reduced by 49.2%, 59.4%, 41.7% , and 42.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Both fresh and dry biomass were substantially reduced under nitrogen deficient conditions, with dry weight decreasing from 11.8 g (control) to 3.0 g (100% deficiency). Total nitrogen content in plant tissue declin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nitrate deficiency. Visual symptoms, including chlorosis, browning, and necrosis, were prominent in the lower leaves and associated with chlorophyll degrad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essential role of adequate nitrogen (NO3-N) supply in sustaining optimal growth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P. frutescens in hydroponic systems. Furthermore, the results allow for the identification of deficient, adequate, and critical nitrate-nitrogen levels for perilla growth, which can guide optimal nutrient management to prevent physiological disorders and reduc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excessive nitrate accumulation.
- COLLAPSE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FT, Deep Flow Technique) 조건에서 질산태 질소(NO3-N) 결핍이 Perilla frutescens Britt.(잎들깨)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야마자키 표준 양액을 기반으로 NO3-N 농도를 0%(대조구), 30%, 50%, 70%, 100%의 5수준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처리구를 설정하였다. 처리 시작 후 20일부터 80일까지의 기간 동안, 초장, 엽수, 마디수, 줄기직경 등 주요 생육 지표는 질산태 질소 결핍(Nitrate Deficiency, ND)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80일 후 ND 100%(0 mM) 처리구에서는 생육이 크게 저해되어 초장, 엽수, 마디수, 줄기직경이 각각 49.2%, 59.4%, 41.7%, 42.2% 감소하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93.4g에서 15.5g, 11.8g에서 3.0g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식물체 내 총 질소 함량도 ND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D 0% 대비 ND 100% 처리구에서는 약 50% 이상의 질소 함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하엽에서는 황화, 갈변, 괴사 등의 생리적 장애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엽록소 분해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는 수경재배 조건에서 잎들깨의 안정적인 생육과 생리적 기능 유지를 위해 충분한 질산 공급이 필수적임을 보여주며, 상업적 생산을 위한 질산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Influence of Nitrate-Nitrogen Deficiency on Leaf Perilla Growth under Hydroponic Conditions
-
Original Articles
-
Growth Responses of Pot-grown Southern Highbush Blueberry ‘Scintilla’ as Affected by Cocopeat growing Medium
코코피트를 이용한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신틸라’의 용기재배 가능성 평가
-
Mi Geon Cheon
천미건
-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cocopeat as an alternative to peatmoss for pot cultivation of the southern highbush blueberry cultivar …
본 시험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무가온온실에서 ‘신틸라’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용기재배 시 피트모슬 대체하여 코코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트모스+펄라이트(대조), …
-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cocopeat as an alternative to peatmoss for pot cultivation of the southern highbush blueberry cultivar ‘Scintilla’ in an unheated greenhouse located in Jinju, Gyeongsangnam-do. Four growing media were tested: peatmoss + perlite (control), peatmoss + cocopeat + perlite, cocopeat alone, and cocopeat + perlite. Growth and yield were assessed during the year following planting. The number of new shoots per plant decreased by 21% in cocopeat alone and 43% in cocopeat + perlite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 per plant was highest in the control (1.7 kg) and similar in peatmoss + cocopeat + perlite medium, whereas cocopeat alone and cocopeat + perlite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yields to approximately 41% of the control. In the second year after planting, the drainage pH of the control medium was maintained between 3.8 and 4.0 from January through July (one month after harvest), while cocopeat-based media exhibited higher drainage pH levels above 6.0, which is not suitable for blueberry cultivation due to its preference for acidic conditions. Therefore, cocopeat alone or mixed only with perlite is unsuitable for blueberry production; however, a mixture including cocopeat with peatmoss and perlit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medium.
- COLLAPSE
본 시험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무가온온실에서 ‘신틸라’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용기재배 시 피트모슬 대체하여 코코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트모스+펄라이트(대조), 피트모스+코코피트+펄라이트, 코코피트, 코코피트+펄라이트 등 네가지 조합으로 구성되었으며 재식 이듬해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주당 신초수는 대조구보다 코코피트 상토에서 21% 코코피트+펄라이트 상토에서 43%나 감소하였고, 주당 수량은 대조구가 1.7kg인 반면, 코코피트 및 코코피트+펄라이트 상토에서는 대조구의 41%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또한 배액의 pH는 대조구가 1월부터 수확 종료 후 1개월인 7월까지 3.8에서 4.0 범위를 유지한 반면, 코코피트 단용 및 코코피트+펄라이트 혼합 상토에서는 6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 코코피트 단독 또는 펄라이트 혼합만으로는 블루베리 생육에 부적합하며, 기존 피트모스+펄라이트 상토에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만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Growth Responses of Pot-grown Southern Highbush Blueberry ‘Scintilla’ as Affected by Cocopeat growing Medium
-
Original Articles
-
Changing patterns of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the Ripening Stages of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with Different Fruit Skin Colors
과색이 다른 딸기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변화
-
Nam-Jun Kang
강남준
- As a result of analyzing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the maturity stage of strawberry frui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llistephine content …
딸기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한 결과, 칼리스태핀 함량은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성숙단계가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색이 다른 품종간의 축적 …
- As a result of analyzing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the maturity stage of strawberry frui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llistephine conten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and tended to increase as the maturity stage progressed.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mulation patterns between cultivars with different fruit colors, but the callistephin content of the red strawberry, Seolhyang, was high, while the pink strawberry, Manyeonsel, tended to be low.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yanidine-3-glucoide was higher when water wa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than ethanol, which was the highest in the green stages in both cultivars and tended to decrease as the maturity stage progressed. The (+)-catechin content according to the maturity stage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the green stages overall, and tended to decrease as the maturity stage progressed.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atechin was good in ethanol, and the (+)-catechin content according to the maturity stage was generally high in the green stages and tended to decrease as the maturity stage progressed. The catechin content in green stages of Manyeonsel was 205.3 mg per 100 g of dry weight, which was very high compared to 115.6 mg in the Seolhyang.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epi-catechin was better in water than in ethanol, and the content of epi-catechin tended to be higher in Seolhyang than in Manyeonsel. When extracted with water, the epi-catechin content of Seolhyang increased 16.0-fold from 15.7 mg per 100g dry weight in green stages to 250.3 mg in mature stages, and 3.1-fold from 50.1 mg to 154.2 mg in Manyeonsel. The content of quercetin-3-glucoside tended to be higher when ethanol was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than water, and it was 12.2 and 15.7 mg per 100 g of dry weight in Seolhyang and Manyeonsel, respectively, in the highest-content green stages. Quercetin had a higher extraction efficiency from ethanol than water, which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at 2.5 mg in the mature stages of Seolhyang, while at 3.2 mg in Manyeonsel.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hlorogenic acid was higher in water than in ethanol, and the content was highest in the green stages and tended to decrease as maturation progressed. When extracted with water, the content in the green stages of Seolhyang and Manyeonsel decreased by 45.3 and 33.9%, from 14.8 and 18.9 mg, respectively, to 8.1 and 12.5 mg during the mature stag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ellagic acid tended to be higher when water was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than ethan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ent according to maturity stages in the two cultivars. The cinchonine was more efficient in extraction from water than ethanol and tended to increase as the maturation stage progressed in both varieties, the highest at 148.6 mg per 100 g of dry weight in the mature stages of the Manyeonsel.
- COLLAPSE
딸기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한 결과, 칼리스태핀 함량은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성숙단계가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색이 다른 품종간의 축적 양상은 차이가 있었는데 빨간색 딸기인 설향의 칼리스태핀 함량은 높은 반면 분홍색 딸기인 만년설은 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시아니딘-3-글루코아이드 함량은 에탄올보다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가 높았는데, 두 품종에서 녹숙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성숙단계가 진전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카테킨의 추출 효율은 에탄올에서 좋았으며, 성숙단계에 따른 카테킨 함량은 전반적으로 녹숙기에서 높았으며 성숙단계가 진전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만년설의 녹숙기 카테킨 함량은 건물 100g 당 205.3mg으로 설향의 115.6mg에 비해 아주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에피카테킨의 추출 효율은 에탄올보다는 물이 좋았으며, 에피카테킨의 함량은 만년설보다는 설향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물로 추출할 경우에 설향의 에피카테킨 함량이 녹숙기의 건물 100g 당 15.7mg에서 완숙기에는 250.3mg으로 16.0배 증가하였고 만년설에서는 50.1mg에서 153.9mg으로 3,1 배 증가하였다. 퀘르세틴-3-글루코사이드는 물보다는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함량이 가장 높았던 완숙기에서 설향과 만년설에서 건물 100g 당 각각 12.2와 15.7mg 수준이었다. 퀘르세틴은 물보다는 에탄올에서 추출효율이 높았는데, 설향의 완숙기에는 2.5mg 수준인 반면 만년설에서는 3.2m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클로로겐산의 추출 효율은 에탄올보다는 물에서 높았으며 함량은 녹숙기에서 가장 높았고 성숙이 진전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로 추출할 경우에 설향과 만년설의 녹숙기 함량은 각각 14.8mg과 18.9mg에서 완숙기에는 8.1과 12.5mg 수준으로 각각 45.3과 33.9% 감소하였다. 엘라그산은 에탄올보다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에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두 품종에서 성숙단계에 따른 함량 차이는 없었다. 신코닌은 에탄올보다는 물에서 추출효율이 높았고 두 품종에서 성숙단계가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만년설의 완숙기에서 건물 100g 당 148.6mg으로 가장 높았다.
-
Changing patterns of Bio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the Ripening Stages of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with Different Fruit Skin Colors
-
Original Articles
-
Effect of Low-Pressure Mercury UV-C Lamps on the Inactivation of Agrobacterium rhizogenes in Raw Water for Facility Cultivation
저압 수은 UV-C 램프가 시설재배용 원수 내 Agrobacterium rhizogenes 살균에 미치는 영향
-
Jung-Hoo Kook, Sang-Min Kim, Oluwasegun Moses Ogundele, Jeong-In Choi, Jinwoo Kim, Hyeon-Tae Kim
국중후, 김상민, 오군델레올루와세군 모세스, 최정인, 김진우, 김현태
-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a low-pressure mercury UV-C system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um Agrobacterium rhizogenes by analyzing the …
본 연구는 병원성 박테리아 Agrobacterium rhizogenes에 대해 저압 수은 UV-C 소독 시스템의 살균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램프 소비전력과 유량의 조합에 따른 …
-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a low-pressure mercury UV-C system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um Agrobacterium rhizogen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lamp power consumption and flow rate. Agricultural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commercial farms (Sources A, B, and C) in Sacheon-si, Gyeongsangnam-do,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Source D in Gunbuk-myeon, Haman-gun, Republic of Korea, for the second experiment. All water samples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with A. rhizogenes prior to treatment. The experiment tested nine combinations of three lamp power consumption levels (40, 75, and 105 W) and three flow rates (10, 15, and 30 L/min). Among these, samples #10, #20, and #30 were inoculated but not UV-treated, serving as the corresponding pre-disinfection controls. In the second experiment, a fixed power of 75 W was applied under high-flow conditions (60 and 120 L/min), with samples #37 and #38 serving as the corresponding untreated controls. In all tested conditions, absence of detectable bacteria was confirmed, except for sample #33 (75 W, 60 L/min), in which viable cells were detected at 2.0×102 CFU/mL. However, this represented approximately a 4.9 log reduction compared to its control (#37, 1.6×10⁷ CFU/mL), indicating substantial bactericidal 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disinfection can be achieved even under high-flow conditions, provided that sufficient UV dose is delivered. The results underscor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low-pressure UV-C systems in agricultural water treatment through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 COLLAPSE
본 연구는 병원성 박테리아 Agrobacterium rhizogenes에 대해 저압 수은 UV-C 소독 시스템의 살균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램프 소비전력과 유량의 조합에 따른 소독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농업용수는 경상남도 사천시 소재 세 농가(A, B, C)와 함안군 군북면의 한 농가(D)에서 채취하였으며, 목표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뒤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차와 2차로 구분되며, 1차 실험은 소비전력 40, 75, 105W와 유량 10, 15, 30L/min의 3×3 조합으로 구성되었고, 2차 실험은 소비전력 75W 조건 하에서 고유량(60, 120L/min) 조건을 적용하였다. 대부분의 실험 조건에서 박테리아가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유일하게 생균이 검출된 조건(#33, 75W-60L/min)에서만 생균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해당 조건에서도 생균수는 UV 비처리 대조군(#37)에 비해 약 4.9log 수준 감소하여 유의미한 소독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유량 조건에서도 충분한 UV 조사량이 확보된다면 안정적인 소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저압 UV-C 시스템의 운전 변수에 따라 살균 효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적으로 입증하였으며, 농업용수 처리에 있어 해당 기술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Effect of Low-Pressure Mercury UV-C Lamps on the Inactivation of Agrobacterium rhizogenes in Raw Water for Facility Cultivation
-
Original Articles
-
Growth and Biomass Response of Chinese Cabbage to Soil Application of Strontium Chloride Hexahydrate under Different Organic Matter Levels
토양처리된 스트론튬이 다양한 유기물 함량 조건에서 배추의 생장 및 생체중에 미치는 영향
-
Sang Rim Kim, Faraaz Ahmed Mohammad, Ji Gu Lee, Mac Cheryl Sulan Charles Emparang, Min Geon Cho, Dae Geun Jeong, Min Jae Kim, Jum-Soon Kang
김상림, 모함마드파라즈 아흐메드, 이지구, 엠파랑맥 셰릴 술란 찰스, 조민건, 정대근, 김민재, 강점순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non-radioactive SrCl2 (50, 100, and 200 mg·kg-1) and soil organic …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하여 Sr 농도를 50, 100, 200mg·kg-1 및 토양 유기물 함량을 5%, 10% 및 15%로 달리하여 …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non-radioactive SrCl2 (50, 100, and 200 mg·kg-1)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5%, 10%, and 15%) on the growth, fresh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Sr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reduced plant height, root length, leaf area,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ith pronounced growth inhibition observed at 200 mg·kg-1 Sr treatment. In contrast, chlorophyll content (measured by SPAD valu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suggesting that Sr has a limited effect on photosynthetic pigments. The adverse effects of Sr on plant growth were alleviated in soils with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with the most substantial buffering effect observed at 15% organic matter. This is likely due to the mechanism by which organic matter reduces the bioavailability of Sr, thereby inhibiting its uptake by plant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elucidates the toxic response of crops to Sr and the organic matter-mediated soil buffering effect through experiments using non-radioactive SrCl2.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the phytoremediation of radiologically contaminated soils and the production of safe agricultural products.
- COLLAPSE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하여 Sr 농도를 50, 100, 200mg·kg-1 및 토양 유기물 함량을 5%, 10% 및 15%로 달리하여 배추의 생육, 생체중,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생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r 농도가 증가할수록 초장, 근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Sr 200mg·kg-1 처리에서 생육 저해가 뚜렷하였다. 반면, 엽록소 함량(SPAD)은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광합성 색소에는 Sr의 영향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Sr 처리에 따른 생육 저해가 완화되었으며, 특히 유기물 15% 조건에서 완충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유기물이 Sr의 생물유효도를 감소시켜 식물체 흡수를 억제하는 기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작물의 Sr 독성 반응과 유기물 기반 토양 완충 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으며, 향후 방사성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및 안전 농산물 생산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Growth and Biomass Response of Chinese Cabbage to Soil Application of Strontium Chloride Hexahydrate under Different Organic Matter Levels
-
Original Articles
-
Effects of Different Media on the Growth of Centella asiatica L. in a Hydroponic System
수경재배 시 배지 종류에 따른 병풀(Centella asiatica L.)의 생육 특성 비교
-
Kyoung-Hyun Yu, In-Je Kang, Han-Sol Sim, Seong-Nam Jang, Ga Oun Lee, Hyuk Joon Kwon, Su Ho Yeon, Young Dae Cho, Ki-Ho Son
유경현, 강인제, 심한솔, 장성남, 이가운, 권혁준, 연수호, 조영대, 손기호
- The potent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entella asiatica underscore the need for its large-scale propaga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 response to increasing market …
병풀(Centella asiatica)의 뛰어난 약리적 효능은 산업적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 개발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며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
- The potent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entella asiatica underscore the need for its large-scale propaga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 response to increasing market dema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entella asiatica cultivated in organic and inorganic media during vegetative propagation using runners under a hydroponic system. Plants grown in polyurethane foam (PU)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hoot fresh weight, runner fresh and dry weights, leaf area, and SPAD value. Hydroball (HB) also showed superior growth compared to other media. In contrast, plants in jiffy pellets (JP) showed the poorest growth. These enhanced growth characteristics in PU are attributed to its high total porosity and air space, key physical properties that promote root development and a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PU is identified as the most suitable media for the vegetative propagation and subsequent large-scale production of Centella asiatica.
- COLLAPSE
병풀(Centella asiatica)의 뛰어난 약리적 효능은 산업적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 개발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며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런너를 이용한 병풀의 영양번식 시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폴리우레탄폼(PU)에서 재배된 병풀의 지상부 생체중, 런너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SPAD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하이드로볼(HB) 역시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 특성을 나타냈으나, 지피 펠렛(JP)에서는 대부분 생육특성에서 가장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PU 배지에서 생육 증가는 뿌리 발달에 핵심적인 물리적 특성인 총 공극률과 기상률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병풀의 영양번식 및 대량생산을 위해 PU 배지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Effects of Different Media on the Growth of Centella asiatica L. in a Hydroponic System
-
Original Articles
-
Growth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Lettuce and Basil to Fluctuating Light Intensity in a Plant Factory
식물공장에서의 광도 변동에 따른 상추와 바질의 생장 및 광합성 반응
-
Jaeho Jeong, Yurina Kwack
정재호, 곽유리나
- Light is a key environmental factor that strongly influences plant growth and physiology. In plant factories, light intensity is typically kept constant …
대광은 식물의 생장과 생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환경 요소이다. 식물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재배 기간 동안 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누적 …
- Light is a key environmental factor that strongly influences plant growth and physiology. In plant factories, light intensity is typically kept constant throughout cultiv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aily fluctuating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basil (Ocimum basilicum L.) under equivalent light integral conditions. At 25 days after sowing (25 DAS), plants were subjected to eight light treatments for seven days. The control maintained a constant light intensity of 250 µmol·m-2·s-1, while treatments L1-L7 involved daily fluctuations between 150 and 350 µmol·m-2·s-1. Photosynthetic responses in both species generally followed the light fluctuation patterns. Gradual increases in light intensity had no effect on stomatal conductance, whereas rapid increases significantly reduced it. At 32 DAS, the highest growth in lettuce was observed under the control and L5 (irregular fluctuations), whereas the highest growth in basil was observed under L2 (gradual increase followed by decre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ort-term modulation of daily light intensity prior to harvest can improve productivity, with species-specific responses to light fluctuation.
- COLLAPSE
대광은 식물의 생장과 생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환경 요소이다. 식물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재배 기간 동안 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누적 광량 조건 하에서 일일 광도 변동이 상추(Lactuca sativa L.)와 바질(Ocimum basilicum L.)의 생장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파종 후 25일(25 DAS)에 식물에 7일간 8가지의 광 처리(L1-L7)를 적용하였다. 대조구는 250 µmol·m-2·s-1의 일정한 광도를 유지하였고, L1부터 L7까지의 처리구는 150에서 350 µmol·m-2·s-1 사이의 일일 광도 변동을 수반하였다. 두 작물 모두에서 광합성 반응은 전반적으로 광도 변동 패턴을 따랐다. 광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공전도도에 영향이 없었으나, 급격한 증가가 있을 경우에는 기공전도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32 DAS 에는 상추에서 대조구와 L5 처리구(불규칙한 변동)에서 가장 높은 생장이 나타났으며, 바질에서는 L2 처리구(점진적 증가 후 감소)에서 가장 높은 생장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수확 직전의 단기적인 일일 광도 조절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반응은 작물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
Growth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Lettuce and Basil to Fluctuating Light Intensity in a Plant Factory
-
Original Articles
-
Growth Responses of Cucumber Seedlings to Single and Combined Stresses of Mechanical Stimulation and Salinity
기계자극과 염의 단일 및 복합 스트레스에 의한 오이묘의 생육 반응
-
Hyeon Woo Jeong, Hee Sung Hwang, Jin Yu, Eun Won Park, So Yeong Hwang, Ji Hye Yun, Jeong Kill Koo, Hyeong Eun Choi, Seong Jae Hwang
정현우, 황희성, 유진, 박은원, 황소영, 윤지혜, 구정길, 최형은, 황승재
-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mechanical stimulation can enhance plant resistance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ponse …
이전의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이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향상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과 염 스트레스에 대한 오이묘의 …
-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mechanical stimulation can enhance plant resistance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ponse of cucumber seedlings to salt stress combined with mechanical stimulation. Cucumber seeds were sown in 40-cell plug trays filled with commercial seedling medium. Brushing treatment using an acrylic film was applied every 2 hours, starting 29 days after sowing. After 7 days of brushing, NaCl solutions at concentrations of 50, 100, 150, and 200 mM were applied to both brushing and non-brushing groups. Growth and stress responses were measured 9 days after NaCl treatment.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fresh weights of shoots and roots decreased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However, SPAD values increased with higher NaCl levels. Brushing treatment reduced plant height regardless of NaCl concentration. While total root length and root volume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brushing treatment mitigated these effects by increasing root length and root volume. MDA and H2O2 levels increased with NaCl treatment, and the brushing group showed higher contents of both than the non-brush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mechanical and salt stresses increase stress responses in cucumber seedlings, and mechanical stimulation may alleviate salt-induced root growth inhibi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ress tolerance may be induc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intensity of appropriate mechanical stimulation.
- COLLAPSE
이전의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이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향상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과 염 스트레스에 대한 오이묘의 반응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오이 종자는 상업적 공정육묘상토가 충진된 40구 트레이에 파종하였고 파종 후 29일부터 아크릴 필름을 이용하여 브러싱 처리를 2시간 간격으로 진행하였다. 브러싱 자극 7일 후 NaCl 용액을 이용하여 50, 100, 150, 200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NaCl 처리 9일 후 오이묘의 생육과 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그리고 지상부의 생체중이 감소 하였으며, SPAD 값은 NaCl의 농도와 관계없이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근장과 뿌리 부피가 감소하였지만, 브러싱 처리구에서는 총 근장과 뿌리 부피가 증가하여 NaCl의 처리에 대한 영향을 완화 시켰다. MDA와 H2O2 농도는 NaCl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브러싱 처리로 인해서도 높은 MDA와 H2O2 함량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계적 스트레스와 염분 스트레스가 모두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켰으며, 기계적 자극이 염 스트레스로 인한 뿌리 생장 억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기계적 자극의 처리 강도 조절을 통한 스트레스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Growth Responses of Cucumber Seedlings to Single and Combined Stresses of Mechanical Stimulation and Salinity
-
Original Articles
-
Solar Radiation-Driven Irrigation Optimization for Grafted and Non-Grafted Green Pepper Seedlings in ICT-Monitored Greenhouse
ICT 온실 활용 풋고추 수경재배 시 실생묘와 접목묘의 일사량 기반 급액량 설정
-
Myeong Suk Kim, Ji Ho Kim, Ji Hye Jang, Min Sil Ahn, Jun Gu Lee
김명석, 김지호, 장지혜, 안민실, 이준구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non-grafted and grafted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seedlings …
본 연구는 풋고추 수경재배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측정된 누적 일사량을 기반으로 급액량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생묘와 접목묘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non-grafted and grafted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seedlings under solar radiation-based irrigation control using ICT in a hydroponic system. Non-grafted ‘Soonhangilsang’ and grafted (‘Soonhangilsang’ scion × ‘BN901’ rootstock) seedlings were cultivated in coir substrate from late August to the following April. Irrigation was controlled at four levels (T1-T4) based on cumulative solar radiation measured by ICT sensors. In non-grafted seedlings, the T2 irrigation level (50-160 mL·100J-1·plant-1) achieved the highest irrigation efficiency, as increased irrigation beyond this level showed minimal yield improvement and excessive drainage. Grafted seedlings, howev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vity at the T4 level (70-240 mL·100J-1·plant-1), yielding 6,306 g·plant-1, approximately 34% more than non-grafted plants at the same irrigation level. Leaf sap and tissue analysis revealed a decline in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and an increase in potassium as the growing season progressed. While non-grafted seedlings exhibited higher sap nutrient concentrations, these values showed low correlation with leaf nutrient content and yield, especially for nitrog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afted plants benefit from increased irrigation under solar radiation-based control, and that accurate diagnostic use of sap analysis requires standardized sampling protocols. ICT-based irriga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o optimizing long-term hydroponic pepper cultivation.
- COLLAPSE
본 연구는 풋고추 수경재배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측정된 누적 일사량을 기반으로 급액량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생묘와 접목묘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로는 실생묘 ‘순한길상’과 접목묘 ‘순한길상’(접수) + ‘BN901’(대목)을 사용하였으며, 65-70일 간 육묘한 뒤 코이어배지에 8월 하순에 정식하여 이듬해 4월까지 재배하였다. 급액량은 ICT 센서를 통해 측정한 누적 일사량을 기준으로 T1-T4의 4수준으로 처리하였다. 풋고추 실생묘 수경재배 시 급액량 T2(생육초기-중기: 50-160mL·100J-1·plant-1) 처리 이상에서 생육초기 과실의 품질 차이가 일부 있었으나, 정식 후 54일차 이후로는 품질에 차이가 없고, 생산량 증가도 미미하기 때문에 양액 사용효율을 고려하였을 때 적정 급액량은 T2로 판단되며, 이때의 배액률은 사분위수 범위(Q3-Q1)를 기준으로 생육초기 13-31%, 생육중기 20-34%로 관찰되었다. 접목묘의 경우 T4(70-240) 처리에서 총생산량 6,306g·plant-1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실생묘 T4 처리구 보다 약 34% 증수하였다. 이를 통해 풋고추 수경재배의 접목묘 도입 시 장기간 세력 유지와 생산성 향상에 유리하며, 실생묘와는 차별화된 급액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엽병 즙액 및 엽 조직 내 총질소, 총인, 칼륨 함량 분석 결과, 생육 후기로 갈수록 총질소와 총인은 감소하고 칼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생묘에서 엽병 즙액 내 N, P, K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엽병 즙액 분석값과 엽 조직 내 함량 간 상관성은 질소에서 낮았고, 생산성과의 관련성도 미미하여, 즙액 분석을 활용한 생육 진단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료 채취 위치, 수분 상태, 엽령 등 명확한 기준 설정이 요구된다.
-
Solar Radiation-Driven Irrigation Optimization for Grafted and Non-Grafted Green Pepper Seedlings in ICT-Monitored Greenhouse
-
Original Articles
-
Growth and Development of Red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Physiological pH Reactivity of Fertilizers
비료의 생리적 반응성이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In Sook Park, Myong Sun Park, Jong Pil Chun, Jong Myung Choi
박인숙, 박명선, 천종필, 최종명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ological reactivity of post-planting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three red …
육묘과정에서 생리적 반응성이 다른 비료로 추비할 때 홍고추 3품종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72셀 트레이에 시판상토를 충진하고 ‘AT …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ological reactivity of post-planting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three red pepper plug seedlings. The 72 cell trays were filled with a commercial root medium and seeds of ‘AT Sinhotan’, ‘Allbokhap’, and ‘Callatan’, were sown. The trays were located in dark germination room until germination. After germination, the trays were transferred to a nursery room and seedlings were feed with physiologically different four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such as acidic, neutral, alkaline, or acidic/alkali alteration.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fertilizer solutions was 150 mg·L-1 based on N. The growth of seedlings was measured twice on 39 and 56 days after sowing. The different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influenced differently on seedling growths with the highest growth in the treatment of neutral fertilizer.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4 kinds of fertilizer solutions. After 56 days after sowing, ‘Callatan’ or the fertilizer treatments of neutral and acidic/alkaline alteration had more flowers than other varieties or other fertilizers, respectively. The leaf area and the SPAD value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s of neutral and acid, respectively. The ‘Callatan’ hot pepper or fertilizer treatment of acidic/alkaline alteration had higher tissue nutrient contents except Ca than other varieties or fertilizer treatm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achieved through this research such as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reactivity of fertilizers on the seedling growth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growth control in seedling raising.
- COLLAPSE
육묘과정에서 생리적 반응성이 다른 비료로 추비할 때 홍고추 3품종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72셀 트레이에 시판상토를 충진하고 ‘AT Sinhotan’, ‘Allbokhap’ 및 ‘Callatan’ 품종의 종자를 파종한 후 암상태에서 발아시켰다. 발아 후 25℃의 육묘실로 옮겨 질소 기준 150mg·L-1으로 농도를 조절한 산성, 중성, 알칼리성 및 동일한 농도의 산·알칼리성 비료 교호 처리구 등 4처리로 실험하였다. 생육 조사는 파종 후 39일과 56일에 2회 수행하였으며, 처리한 생리적 반응성에 영향을 받아 고추의 초장, 경경, 지상부 생체중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성 중 품종에 관계없이 중성 비료 처리구에서 경경과 생체중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파종 후 56일째 ‘Callatan’ 품종이 타 품종들 보다, 그리고 각 품종 내에서는 중성 비료와 교호 시비 처리구에서 개화수가 많았다. 중성 비료 처리구에서 엽면적이 가장 넓었고, SPAD 값은 산성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컸다. 식물체의 무기원소 분석 결과, 교호 시비 처리구의 ‘Callatan’ 품종이 Ca을 제외한 모든 원소의 함량이 높았다. 생리적 반응성이 다른 비료를 처리할 때 생육 차이가 발생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육묘과정의 생장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Growth and Development of Red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Physiological pH Reactivity of Fertiliz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