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ight Species for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in Vertical Farms

    수직농장에서 약용작물 생산을 위한 8종의 종자 발아 특성

    Ga Oun Lee, Hyuk Joon Kwon, Ye Lin Kim, In-Je Kang, Gyu-Sik Yang, Ju-Sung Cho, Ki-Ho Son

    이가운, 권혁준, 김예린, 강인제, 양규식, 조주성, 손기호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eed shape, temperature, and light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of eight species of medicinal crops to …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약용작물 8종에 대한 종자의 형태 및 온도, 광 처리에 따른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약용 …

    + READ MOR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eed shape, temperature, and light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of eight species of medicinal crops to produce high-value crops in vertical farms. Eight species of medicinal seeds were selected, and the seed shape, seed length, seed width, seed length/width ratio, and one hundred seed weight were measured. The seed moisture content was confirmed. Eight species of medicinal seeds were sown, and the germination rate, germination energy, mean daily germination, and mean germination tim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emperature (15, 20, 25, 25/15°C) and light treatment. Each of the eight medicinal seeds showed different seed shape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eeds showed a moisture content rate of over 20% in the five medicinal seeds. Medicinal seeds that showed a germination rate of over 50% were Angelica gigas Nakai,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Benth. & Hook.f. ex Trautv.,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var. japonica Miq. seeds. A. gigas seed showed a germination rate of 67.34 ± 4.38% under 25/15°C light conditions, and C. lanceolata seed showed a germination rate of over 50% under both temperature and light treatment conditions, especially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82.67 ± 1.46% under 15°C dark conditions. Peucedanum japonicum Thunb. seed showed a germination rate of 52.34 ± 1.77% under dark conditions at 20°C, an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51.67 ± 3.79% under dark conditions at 15°C. The maximum germination energy was 74.00 ± 4.94% in C. lanceolata seed. The maximum mean daily germination was 14.94 ± 0.15 days in P. japonicum seed. Astragalus penduliflorus Lam. var. dahuricus (DC.) X.Y.Zhu seed showed the highest mean germination time of 34.19 ± 4.71. Through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 gigas, C. lanceolata, and A. penduliflours seeds would be suitable for production in vertical far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inal seed through analysis of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약용작물 8종에 대한 종자의 형태 및 온도, 광 처리에 따른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약용 종자 8종을 선별하여 종자의 형태를 종자의 길이, 종자의 너비, 종자의 길이/너비의 비율 및 백립중 측정하였으며, 종자의 수분함량을 확인하였다. 약용 종자 8종을 파종하여 온도(15, 20, 25, 25/15°C) 및 광 처리에 따라 발아율, 발아세, 평균 발아 속도, 평균 발아 일수를 조사하였다. 약용 종자 8종에 따라 각기 다른 종자 형태를 보였다. 종자의 수분함량은 약용 종자 5종에서 20% 이상의 흡수율을 보였다. 50%가 넘는 발아율을 보인 약용 종자는 당귀(참당귀), 더덕, 식방풍(갯기름나물) 및 우슬(쇠무릎) 종자였다. 당귀 종자는 25/15°C 광 조건에서 발아율이 67.34 ± 4.38%로 보였으며, 더덕 종자는 온도 및 광 처리 조건 모두에서 50% 이상의 발아율과 특히 15°C 암 조건에서 82.67 ± 1.46%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식방풍 종자는 20°C 암 조건에서 52.34 ± 1.77%의 발아율을 보였고, 우슬 종자 15°C의 암 조건에서 51.67 ± 3.79%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최대 발아세는 더덕 종자에서 74.00 ± 4.94%였습니다. 식방풍 종자에서 최대 평균 발아 일수는 14.94 ± 0.15일이었다. 황기 종자에서 34.19 ± 4.71로 최대 평균 발아 속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약용 종자별 특성들을 기초로 수직농장에서 생산하기 위해 종자 발아 특성 분석을 통해 당귀, 더덕, 황기 종자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Original Articles

    Comparison of Seedling Quality of Cucumber Seedlings and Growth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eedling Production Systems

    육묘 생산 시스템 차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 비교

    Soon Jae Hyeon, Hwi Chan Yang, Young Ho Kim, Yun Hyeong Bae, Dong Cheol Jang

    현순재, 양휘찬, 김용호, 배윤형, 장동철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seedlings produced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by comparing seedling …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과 공정육묘장의 환경차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 정식 후 생육과 과실의 특성 및 생산량 비교를 통해 인공광 이용형 …

    + READ M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seedlings produced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by comparing seedling quality,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cucumber seedlings according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conventional nurseries in greenhous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greenhouse seedlings (GH) grown in the conventional nursery before transplanting. Plant factory to greenhouse seedlings (PG) were grown for 9 days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for 13 days in an conventional nursery. Plant factory seedlings (PF) were grown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for 22 days until planting. In terms of seedling quality, PFs had the highest relative growth rate and compactness and the best root zone development. After transplanting PFs tended to grow faster, the first harvest date was 2 days earlier than that of GHs, and the growing season ended 1 day earlier. The female flower flowering rate of the PFs was high, and the fruit set rate was of PF the lowest.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was highest for PFs at 10.23kg Performance index on the absorption basis, the most sensitive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 was highest at 4.14 for PFs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By comparing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rimary PS Ⅱ photochemistry and dissipated energy flux per PS Ⅱ reaction center electron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PFs tended to be the least stressed. PFs had the best seedling quality, growth, and production after planting, and fruit quality was consistent with that of greenhouse seedlings. Therefore, plant factory seedlings can be used in the field.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과 공정육묘장의 환경차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 정식 후 생육과 과실의 특성 및 생산량 비교를 통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모종의 생육과 생산량의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정식 전까지 공정육묘장에서 육묘한 Greenhouse 모종(GH)이 대조구이다. 가식전까지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9일간 육묘하고, 가식 후 육묘장에서 13일간 육묘한 Plant factory to Greenhouse 모종(PG), 정식 전까지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22일간 육묘한 Plant factory 모종(PF)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묘소질에서는 PF의 상대생장률과 충실도가 가장 높았고, 근권부 발달 또한, 가장 우수하였다. 정식 후 생육 또한 세 처리구 중 PF가 빠른 경향을 나타냈으며 첫 수확일이 GH에 비해 2일 빨랐고 작기는 1일 빠르게 종료되었다. 과장, 과폭 및 과중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PF가 암꽃 개화율이 높았고, 착과율은 PF가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PF가 10.23kg으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형광 매개 변수 중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Pi_Abs는 정식 후 4주차에 PF가 4.14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4주차의 Fv/Fm과 DI0/RC를 비교한 결과 PF가 가장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향을 나타냈다. PF는 묘소질, 정식 후 생육 및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실 품질은 GH의 과실과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PF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Original Articles

    Comparison of Bud Break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Seedling Stage of Six Asparagus Cultivars

    육묘 단계에서 아스파라거스 6품종의 맹아 출현과 생장 특성 비교

    Seo Yeon Ha, Tae Heon Lee, Hyo Jung Jang, Ju Young Hong, Seung Wook Choi, Han Na Lee, Kyung Hye Seo, Myung Suk Ahn, Yang Gyu Ku

    하서연, 이태헌, 장효정, 홍주영, 최승욱, 이한나, 서경혜, 안명숙, 구양규

    The objective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sprout emergence and asparagus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six cultivars (‘Apollo’, ‘Atlas’, ‘Grande’, …

    본 연구는 국내 기후에서 재배에 적합한 아스파라거스 품종을 선택하기 위해 생장 단계에 따른 ‘Apollo’, ‘Atlas’, ‘Grande’, ‘Purple Passion’, ‘UC157’, ‘Walker Deluxe’의 맹아 …

    + READ MORE
    The objective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sprout emergence and asparagus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six cultivars (‘Apollo’, ‘Atlas’, ‘Grande’, ‘Purple Passion’, ‘UC157’, and ‘Walker Deluxe’) according to growth stage to select suitable cultivar in the Korean climate con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edlings of each cultivar during the dormancy, bud break, early fern growth and fern establishment stages, green asparagus cultivar ‘UC157’ had a higher number of spears, number of roots and buds, root length,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oot than the other cultivars. Green asparagus cultivars, ‘Atlas’ and ‘UC157’ were released from dormancy considerably earlier than other cultivars. In contrast, a purple asparagus cultivar ‘Purple Passion’ was showed to lower growth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other cultivars. Proper thermal insulation will be required when the seedling stage of asparagus is damaged by low temperature in wint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C157’ cultivar showed characteristics of good seedlings and bud break compared to other cultivars and is thus expected to have the highest yield among all cultivars tested.


    본 연구는 국내 기후에서 재배에 적합한 아스파라거스 품종을 선택하기 위해 생장 단계에 따른 ‘Apollo’, ‘Atlas’, ‘Grande’, ‘Purple Passion’, ‘UC157’, ‘Walker Deluxe’의 맹아 출현과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유묘기의 휴면 단계, 맹아 출현 단계, 초기 생육 단계, 입경 단계에서 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녹색 아스파라거스 품종인 ‘UC157’은 전반적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순의 개수, 뿌리의 개수, 뿌리의 길이, 버드의 개수,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품종별 맹아 출현 시기는 녹색 아스파라거스 품종인 ‘Atlas’와 ‘UC157’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현저하게 빨랐다. 반면에 자색 아스파라거스 품종인 ‘Purple Passion’은 맹아 출현 시기도 지연되고, 전반적인 생장 특성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았다. 또한, 겨울철 유묘기에 아스파라거스 재배 시 저온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정한 보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로 국내 기후 조건에서 ‘UC157’ 품종이 맹아 출현과 전반적인 생장 특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생산량도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0 April 2024
  • Original Articles

    Comparison of Soil Moisture Changes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Soil Moisture Sensors in the Korean Orchard Field Soils

    노지 과수원에서 토양수분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비교

    Jong Kyun Kim, Hyunseok Kim, Kyeong-Jin Kang, Jongyun Kim

    김종균, 김현석, 강경진, 김종윤

    For efficient soil water management in open fields, the proper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is a prerequisite. Particularly in open-field environments …

    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 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

    + READ MORE
    For efficient soil water management in open fields, the proper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is a prerequisite. Particularly in open-field environments like orchards with extensive root systems, the appropriate positioning of sensors is very importan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placement of soil moisture sensors by assessing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across various positions within orchard field soils after installing tensiometers. In apple and Asian pear orchards located in two regions of Korea, nine soil water potential sensors (TEROS 21, METER Group) were installed at distances of 20, 40, and 60 cm from the tree trunk and depths of 10, 20, and 30 cm from the soil surface, and monitored the soil water potential changes over two yea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ons closer to the tree trunk and the soil surface exhibited more pronounced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The greatest magnitude of change in soil water potential was observed at a distance of 20 cm and a depth of 10 cm, suggesting this position as the most suitable for soil moisture sensor installation. However, variations in the degree and pattern of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were noted across sensor positions due to root system growth over time. Therefore, periodic observation and adjustments in sensor placement would be advisable to accurately monitor the soil moisture condition in long-term crops such as fruit trees in open fields.


    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 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노지 과수원에서 다양한 거리와 깊이에 토양수분장력 센서를 설치하여 각 위치의 토양수분장력 값을 측정하고,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이에 따른 최적 토양수분센서 설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두 지역에 위치한 사과 및 배 과수원에서 각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20, 40, 60cm,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 10, 20, 30cm로 각각 9개의 토양수분장력 센서(TEROS 21, METER Group)를 설치하여 2년간의 토양수분장력 변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과수원 모두 센서가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가까울수록, 토양의 표면으로부터 얕게 설치되어 있을수록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20cm × 10cm(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 지점에서의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토양수분센서 설치에 가장 적합한 지점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연도가 달라짐에 따라 과수의 뿌리가 생장하며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장력의 변화 정도 양상이 조금씩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지 과수와 같이 장기간 재배하는 작물의 토양수분 환경을 알맞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주기적인 토양수분 변화 관찰 및 보완을 통해 센서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0 April 2024
  • Original Articles

    Comparison of Basal Physicochemical Changes of Reused Rockwool Substrate in Hydroponic Tomato Cultivation

    수경재배 토마토 재사용 암면 배지의 기초 물리화학성 변화 비교

    Jae Seong Lee, Jong Hwa Shin

    이재성, 신종화

    Rockwool substrate has superi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s often used in crop cultivation. However, rockwool substrate has the disadvantages of high purchase …

    암면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작물 재배 생산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높은 구매 비용과 폐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배지의 재사용은 …

    + READ MORE
    Rockwool substrate has superi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s often used in crop cultivation. However, rockwool substrate has the disadvantages of high purchase cost and difficulty in disposal. Reuse of substrate can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Substrate must be disinfected and rehydrated during reuse, and various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this process must also be considered.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wo types of rockwool substrates (reused and unused) and to evaluate the reuse potential of rockwool substrate by analyzing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reused rockwool substrate during the rehydration process. The experiment on substr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mparison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23 using used rockwool substrates in tomato cultivation and unused rockwool substrates. Drainage time, drainage volume, and substrate weight were measured using load cells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The reused rockwool substrate weight and dens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used rockwool substrate, while the average drainage time after irrigation was 1.5 times longer for the reused rockwool than for the unused rockwool. The salinity concentration in different parts of the reused rockwool substrate was found to be lower in the reused rockwool substrate compared to the unused rockwool substrat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was at its peak at the beginning of the drainage and decreased exponentially as the drainage volume increased.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over the irrigation time showed an exponential decay pattern. Through the experiments, the potential reusability of the rock wool substrate was assess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암면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작물 재배 생산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높은 구매 비용과 폐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배지의 재사용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배지는 재사용 시 소독 및 재수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변화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암면배지(재사용, 미사용)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고, 재사용 암면 배지의 재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암면 배지의 재사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배지 물리화학성 비교 실험은 2023년 3월부터 8월까지 토마토 재배에 사용된 암면배지와 미사용 암면배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재배 기간 동안 암면에 공급된 배양액의 전기전도도와 pH는 각각 1.8-3.5 dS∙m-1, 5.8-6.0이었다. 배수시간 및 배수량은 관수모니터링 시스템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로드셀을 통해 측정되었다. 암면배지의 물리적 특성 비교에서 무게와 밀도는 재사용 암면배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포수 후 평균 배수 시간은 재사용 암면이 미사용 암면에 비해 1.5배 늦었다. 암면 배지의 부분별 염류 농도는 재사용 암면배지가 미사용 암면배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관수 시간에 따른 배액의 전기전도도 변화는 배수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가장 컸으며, 배액의 양이 증가할수록 급속하게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위 실험 결과를 통해 관수시간 및 관수량과 배액의 전기전도도 변화율은 exponential decay한 관계를 보였다.

    - COLLAPSE
    30 April 2024
  • Original Articles

    Agricultural Applicability of AI based Image Generation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의 농업 적용 가능성

    Seungri Yoon, Yeyeong Lee, Eunkyu Jung, Tae In Ahn

    윤승리, 이예영, 정은규, 안태인

    Since ChatGPT was released in 2022,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dustry has seen massive growth and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

    2022년 Chat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 산업은 엄청난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인지 작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이미지 생성 …

    + READ MORE
    Since ChatGPT was released in 2022,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dustry has seen massive growth and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innovations to cognitive tasks. AI-based image generation, in particular, is leading major changes in the digital worl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chnical foundations of Midjourney, Stable Diffusion, and Firefly—three notable AI image generation tools—and compares their effectiveness by examining the images they produce. The results show that these AI tools can generate realistic images of tomatoes, strawberries, paprikas, and cucumbers, typical crops grown in greenhouse. Especially, Firefly stood out for its ability to produce very realistic images of greenhouse-grown crops. However, all tools struggled to fully capture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greenhouses where these crops grow. The process of refining prompts and using reference images has proven effective in accurately generating images of strawberry fruits and their cultivation systems. In the case of generating cucumber images, the AI tools produced images very close to real on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ir evaluation score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AI-based image genera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in agriculture, suggesting a bright future for its use in this field.


    2022년 Chat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 산업은 엄청난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인지 작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은 현재 디지털 세계의 핵심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AI 이미지 생성 도구인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그리고 파이어플라이의 기술적 원리를 분석하고, 이미지 생성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이 AI 도구들은 대표 시설원예 작물인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오이의 과실 이미지를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하였다. 특히 파이어플라이는 실제 온실 재배 작물 이미지를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모든 도구들은 작물이 자라는 온실의 환경적 맥락을 완전히 반영하는 데에 있어서 다소 한계를 보였다. 프롬프트 개선 및 레퍼런스 이미지를 활용하여 딸기 과실 이미지와 시설 딸기재배 시스템을 보다 정교하게 생성하는 과정도 포함되었으며, 이러한 접근은 AI 이미지 생성 기술의 세밀한 조정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오이 과실 이미지 생성 능력을 비교한 결과, AI 생성 도구들은 실제 이미지와 매우 유사한 이미지를 생성해 냄으로써 이미지 생성 점수(CLIP score)에 있어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이미지 기술이 농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생성형 AI의 농업에 대한 적용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 COLLAPSE
    30 April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