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31 October 2022. 476-484
https://doi.org/10.12791/KSBEC.2022.31.4.476

ABSTRACT


MAIN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1. 작물 재배 조건

  •   2. 급・배액의 화학성 분석

  •   3. 생육 데이터 분석

  •   4. 통계분석

  • 결과 및 고찰

서 론

수경재배방식은 작물 재배 시 배출되는 배액의 폐기 또는 회수 여부에 따라 비순환식 수경재배와 순환식 수경재배로 구분된다(Roh 등, 2009). 비순환식 수경재배의 경우 양액이 1회 급액 후 곧바로 배액되어 폐양액이 발생되며, 이는 주변 토양이나 하천 등으로 그대로 배출되어 지하수와 하천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Uronen, 1995; Roh 등, 1997; Roh, 2003; Park 등, 2005; Kumar와 Cho, 2014; Lee와 Kim, 2019). 비순환식 수경재배에 따른 연간 환경 부하량은(300일 재배, 30% 방출 시 추정) 물 6,000톤/ha, 질소 10톤/ha, 인 1톤/ha, 탄소 배출량 3,285톤/ha이다. 순환식 수경재배 비율은 네덜란드 95%, 일본 15%이다. 이에 반해 한국 5% 미만이고, 유럽과 일본은 폐양액 배출을 철저히 규제하고 있다(RDA, 2018). 수질 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청정지역 제외)에서 총 질소와 인은 각각 60mg∙L-1과 8mg∙L-1 이하로 규제된다(KMoE, 2020). 그러나 현재까지 관련 연구들을 통해 보고된 바에 의하면 수경재배 시설로부터 배출되는 폐양액 내 총 질소와 인의 평균 농도는 해당 배출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ong 등, 2009; Son 등, 2019). 우리나라도 재배시설에서 발생되는 폐양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의 도입 및 적용이 적절한 대안으로 생각되며 점차적으로 비순환식 수경재배 면적을 줄여 나가야 될 것이다(Hong 등, 2009).

수경재배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유기배지인 코이어(coir) 배지는 코코넛 열매의 중과피를 가공하여 만드는 친환경적인 배지이지만 과거 코코넛의 재배환경이나 제조 공정 등의 문제로 배지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했고 암면에 비해 생육 단계별 양∙수분의 조절이 어려웠다(Inden과 Torres, 2004; Evans 등, 1996). 그러나 칩(crushed chips)을 첨가하여 공극을 확보하고, 배액의 배출이 원활해지면서 과거에 비하여 코이어 배지의 균일성이 향상되었고, 근권 함수율 조절이 용이해 졌다(An 등, 2009; Choi 등, 2019; Shin과 Jeong, 2000). 그리고 대표적인 무기배지로 이용되는 암면(rockwool) 배지는 암석을 1,60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한 뒤 원심분리장치와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섬유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다(Lee와 Park, 2021). 배지 내 균일한 양∙수분 관리가 용이하고 양액 공급의 효율이 높아 많은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싼 편이다(Lee 등, 2017).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을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면 순환되는 배양액과 초기에 사용한 배양액 간의 무기양분 비율 및 농도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양액조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Bando와 Machida, 1992; Roh 등, 2009). 특히, 수경재배용 배지의 특성에 따라서 무기이온이 배지에 흡착되거나 배지로부터 이온이 배출될 수도 있는데(Ao 등, 2007; Choi 등, 2018) 유기배지 및 무기배지 각 특성의 따른 무기양분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배액 재사용 여부에 따른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 방식과 무기 및 유기배지 종류에 따라 배액의 양분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근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생육 분석을 통해 앞으로 파프리카 순환식 수경재배 시 최적의 양액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작물 재배 조건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 방식에 따른 양액조성은 네덜란드 파프리카 양액 조성을 기초로 설정하였다(De Kreij 등, 1999; De Kreij 등, 2003). 배액을 재사용하는 순환 방식의 경우 배액을 보정하지 않고 무보정으로 재배 시 이용하는 ‘순환식 표준양액’ 조성을 이용하였고,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비순환 표준양액’ 조성을 각각 이용하였다(Table 1).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품종은 적색계인 ‘시로코’(cv. Scirocco F1, Enza Zaden, the Netherlands)이며, 2021년 8월 19일부터 2022년 2월 22일까지 함안 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35.2°N, 128.4°E) 육묘온실과 A7-6호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육묘온실에서 2021년 8월 19일에 암면 플러그판(∅22 × 27mm, 240 Holes, Daeyoung GS, Daegu, Korea)에 1공당 1립씩 파종하고 질석(vermiculite)으로 복토하여 물로 저면 관수 하였다. 이후 Table 1에 비순환 표준양액(EC 1.5dS∙m-1, pH 5.5)을 이용 하였다. 파종 2주 후 양액(EC 2.5dS∙m-1, pH 5.5)을 포수시킨 암면 블록(10 × 10 × 7.5cm)에 U자 절곡하여 이식하였으며, 육묘 기간 중 EC 2.0-3.0dS∙m-1, pH 5.5로 매일 오전에 공급하여 2021년 9월 15일까지 21일간 육묘하였다. 정식 하루 전날 물로 충분히 포수한 뒤 2021년 9월 16일 슬라브당 4주씩 재식 간격 15 × 7.5cm로 정식하였으며, 코이어 슬라브는 대영지에스(Daeyoung GS, Daegu, Korea)에서 수입한 코코넛의 분말(dust):칩(crushed chips)이 30:70(%, v/v)이고 사이즈 100 × 15 × 10cm로 사용하였으며, 암면은 사이즈 100 × 20 × 7.5cm인 정식용 슬라브(SV75201/9, Hankok UR media, Anseong, Korea)를 사용하였다. 시험구는 재배 방식 2요인, 배지 종류 2요인을 각각 난괴법 3반복 배치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the nutrient solutions used in the experiment.

Netherlands PBG Lab paprika standard culture solution
for open cultivation
Netherlands PBG Lab paprika standard culture solution
for closed cultivation
Chemicals Conc.
(mg∙L-1)
Chemicals Conc.
(mg∙L-1)
Chemicals Conc.
(mg∙L-1)
Chemicals Conc.
(mg∙L-1)
5[Ca(NO3)2·2H2O]NH4NO3 1,026 DTPA-Fe
(6% solution)
10.94 5[Ca(NO3)2·2H2O]NH4NO3 702 DTPA-Fe
(6% solution)
21.88
KNO3 480 H3BO3 1.89 KNO3 480 H3BO3 2.87
KH2PO4 170 MnSO4·5H2O 2.41 KH2PO4 136 MnSO4·5H2O 2.41
NH4NO3 24 CuSO4·5H2O 0.20 NH4NO3 48 CuSO4·5H2O 0.20
MgSO4·7H2O 369 ZnSO4·7H2O 1.45 MgSO4·7H2O 246 ZnSO4·7H2O 1.14
K2SO4 44 (NH4)6Mo7O24·4H2O 0.09 Mg(NO3)2·6H2O 32 (NH4)6Mo7O24·4H2O 0.09

정식 후 3일간 양액(EC 3.0dS∙m-1, pH 5.5)을 하루 동안 6-10회 점적 관수 하였고, 이후 3주간은 뿌리 발달의 촉진을 위해 하루 1-2회 관수하여 건조하게 유지하였으며, 이후 하루 동안 3회 관수 하였다. 정식 후 5주까지는 동일하게 비순환식 재배 방식으로 재배하다가 정식 5주째인 2021년 10월 21일 이후부터 Fig. 1과 같이 순환식과 비순환식 재배 방식으로 분리하여 재배하였고, 관수량은 하루 동안 4회로 7일간 유지하다가 이후 일사비례제어로 변경하였다. 순환식과 비순환식 재배 방식 두 처리 모두 재배 기간의 동안 배액의 EC와 pH 수준이 EC 3.0-3.5dS∙m-1, pH 5.2-5.5 범위 내 유지되도록 모니터링하여 급액의 EC와 pH를 각각 조정하였으며, 매일 공급되는 양액의 30-40% 정도의 배액 되도록 하였다. 순환식의 경우 배액 재사용 시 배액의 재사용 EC 농도를 1.5로 설정하여 배액, 원수, 및 농축양액이 혼합되도록 하였다(Magama-1000 V2.0, Green Control System, Damyang, Korea). 2021년 11월 9일부터 매일 오전 광량에 따라 350-550μL∙L-1의 CO2 시비를 시행하였으며, 기타 관리는 관행에 준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phpf/2022-031-04/N0090310427/images/phpf_31_04_27_F1.jpg
Fig. 1.

Experimental diagram of closed and open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s according to whether drainage is reused in hydroponics.

2. 급・배액의 화학성 분석

유리온실(폭 8m, 길이 25m)에 길이 21.5 m인 행잉거터를 4줄로 설치하여 구역을 나누었다. 21.5m 길이의 헹잉거터를 난괴법으로 전개하고자 배액 순환이 독립적일 수 있도록 7m 간격으로 막음막을 설치하고, 배액 집수 배관이 각각 설비되어 처리구의 배액을 독립적으로 집수할 수 있었다. 급∙배액의 화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처리 3반복으로 구역별로 배관을 따로 설치하여 배수통에 집수되도록 하여 처리구마다 배액의 시료를 각각 따로 채취하였다. 각 구역에 슬라브 7개를 배치하였으며, 구역당 29개의 점적핀을 설치하여 파프리카 1주당 1개씩 꽂고 남은 1개의 핀은 급액 조사에 이용하였다. 급∙배액은 각 처리 별 2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종합 수질측정기(HI9814, Hanna Instruments, Italy)를 사용하여 급∙배액의 pH와 EC를 측정하였다. 또한, 급∙배액의 음이온은 IC(ICS-5000, Dionex, USA)의 유속을 0.7mL·min-1으로 고정하여 용리액 및 재생액을 흘려보내면서 기준선을 안정화시킨 후 혼합 표준액을 이용하여 NO3와 S는 0, 5, 10, 20ppm, P, Cl은 10, 20, 40ppm의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양이온은 ICP(ICAP7400, ThermoScientific,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액을 이용 하여 K, Ca는 0, 25, 50, 100ppm, NH4-N, Mg, Na는 0, 12.5, 25, 50ppm의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여 분석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이온농도를 계산하였다.

3. 생육 데이터 분석

생육 특성 조사항목은 정식 후 41일차에 초장, 최대 주지장, 방아다리 엽장, 방아다리 엽폭, 마디수, SPAD값을 측정하였으며, 정식 후 161일차에 초장, 제1 주지장, 제2 주지장, 주경경, 착과 2그룹의 엽장, 엽폭, 엽면적, 그리고 지상부 잎과 줄기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주경경은 관부의 최대 직경을 디지털캘리퍼스(CD-20CPX, Mitutoyo Crop., Kawasaki, Japan)로 측정하였으며, 건물중은 85℃에서 72시간 건조 후 측정하였다. 과실 특성은 2021년 12월 23일부터 2022년 2월 22일까지 대략 1주일 간격으로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표준매뉴얼에 따라 병충해 없는 중량 100g 이상 과실을 정상과로, 배꼽썩음 증상이 발생한 과실, 상품성이 낮은 소과와 기형과로 분류하여 생육조사 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총 과실수, 정상 과실수, 총 과실무게, 정상 과실무게, 과고, 과폭, 당도 등을 측정하였고, 당도는 Brix 당도계(PAL-1, Atago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하였고, 평균 간 비교는 최소유의차 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을 이용하여 5% 유의수준에서 각 처리 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재배기간 동안 배지 내의 pH와 EC 변화를 Fig. 2에 나타내었다. 11월 24일 배액의 EC가 비순환식 암면 배지 처리구에서 3.5dS∙m-1였고, 순환식 코이어 배지 처리구에서 4.7dS∙m-1까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액의 EC가 상승하여 급액의 EC를 2.5dS∙m-1에서 2.0dS∙m-1 수준으로 낮추어 공급 EC를 변경하였다. 그 이후에는 배액 재사용 여부와 배지 종류에 따라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순환식의 경우 비순환식보다 배액의 EC가 더 낮아지고 특히 암면 배지의 EC 농도가 가장 낮게 유지 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차츰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본 결과는 1그룹 과실만 조사 하였으므로 향후 파프리카 후반기 생육 시험을 더 추가적으로 진행하여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순환식 연구결과에서도 순환식 처리구 배액의 EC는 양액을 보충하거나 전량 교체하였을 때 일시적으로 낮아지기는 하였으나 정식후 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그 원인은 계속적으로 양액을 재순환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Savvas와 Manos, 1999; Roh 등, 2009). pH는 배지 종류와 상관없이 배액을 재사용한 순환식에서 꾸준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생육단계에 따른 양분흡수 특성에 기인하며 생식생장 시 K+의 흡수 증가와 H+의 배출 증가 등 이온 흡수와 배출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Roh 등, 2009). pH는 적정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5.4-6.6으로 관리되었고, 수경재배에서 식물의 무기이온의 정상적인 흡수를 위한 관리가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phpf/2022-031-04/N0090310427/images/phpf_31_04_27_F2.jpg
Fig. 2.

pH (A) and EC (B) changes of the nutrient supply and drainage by date according to sweet pepper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 pH and EC changes measured approximately every 2 weeks after treatment.

배액의 이온을 조사한 결과 Ishihara 등(2006)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K+, Ca2+ 및 Mg2+ 양이온의 농도는 근권 내 배양액의 EC와 유사한 변화추이를 나타냈다. 양이온 Ca2+, Mg2+의 급액과 배액에서의 함유량은 배액 재사용여부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배액의 양이온 Na 이온 함유량은 순환식 재배의 코이어 배지 처리구에서 많이 상승했다. 양이온 NH4-N의 함유량은 급액에 비해 배액에서 함유량이 낮았고, NO3-N에 비하여서도 함유량이 낮았는데 이는 수경재배에서는 배양액 내 NH4 이온을 NO3에 비해 우선적으로 흡수한다는 보고(Ikeda와 Osawa, 1981; Rho, 1997; Jun 등, 2009)와 식물이 가진 이온 선택성에 의해 스스로 유리한 생육 발달을 유지한다는 연구 결과로 인해(Steiner, 1980; Van Noordwijk, 1990) 배액 내 함유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Fig. 3).

P의 함유량은 순환식 재배에서 요구도를 충족하지 못하고 부족하였으며, Cl는 순환식 재배의 코이어 배지 처리구에서 많이 상승했다(Fig. 4). Na+와 Cl은 작물이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이온으로써 생육이 진전될수록 순환식 재배방식에서 집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암면 배지에 비해 코이어 배지에서 더 많이 집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Fig. 3Fig. 4) 본 연구에서는 표준양액을 계속 처리 하였으므로 보정을 통한 새로운 양액공급 시 파프리카의 장기 재배 관찰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phpf/2022-031-04/N0090310427/images/phpf_31_04_27_F3.jpg
Fig. 3.

Cation contents of supply and drainage by date according to sweet pepper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 (A) NH4-N, (B) K, (C) Ca, (D) Na, and (E) Mg.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phpf/2022-031-04/N0090310427/images/phpf_31_04_27_F4.jpg
Fig. 4.

Anion contents of supply and drainage by date according to sweet pepper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 (A) NO3-N, (B) P, (C) S, and (D) Cl.

파프리카 정식 후 42일에 조사한 초기 생육특성 결과는 Table 2와 같이 초장, 최대 주지장, 경경 및 SPAD값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인 초기 생육 결과는 코이어 배지보다 암면에서 생육이 좋았으나 재액 재사용여부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았다. 파프리카의 방아다리 엽장과 엽폭은 순환식 재배의 암면 처리구에서 24.0cm와 13.4c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후기 생육 Table 3을 살펴보면 주경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제1주지장, 제2주지장, 주경경, 엽장, 옆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전반적인 생육이 순환식 재배 방식의 코이어 배지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파프리카는 영양 생장과 생식 생장을 동시에 하므로 적절한 생육 조절이 필요하다. 이는 수확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인데 생육 중에 영양 생장이 우세하면 착과율이 떨어지고, 생식 생장이 우세하면 줄기와 잎 등의 영양 생장이 늦어진다(Hong 등, 2021). 코이어 배지의 경우 잎과 줄기의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장 높은 영양생장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Table 3). Van Os 등(2017)의 순환식 수경재배 시 암면과 코이어 배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코이어 배지에서 초기 잎이 다소 더 무성하고 크게 생장하면서 후반기로 갈수록 과실 개수 차이가 발생하면서 암면 배지보다 수량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코이어 배지의 경우 암면 배지와 다른 이화적 특징을 가지므로 관수 방법을 달리하여 급액관리를 하여야 이러한 초기 생식생장으로 치우치는 결과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하였다.

Table 2.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 of Capsicum annuum L. ‘Sirocco’ measured at 42 days after treatment initiation. Please refer to Fig. 1 for details of treatments.

Hydroponic
method
(A)
Media
(B)
Main
stem
length
(cm)
Longest
branch
length
(cm)
Main
stem
diameter
(mm)
No. of
nodes/main
branch
Sucker
length
(cm)
Sucker
width
(cm)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z
Closed Coir 22.8 by 25.0 b 9.0 d 4.8 b 20.2 c 11.5 b 53.1 b
Rockwool 24.3 a 27.2 a 10.7 a 5.4 a 24.0 a 13.4 a 59.6 a
Open Coir 23.9 b 25.8 ab 9.6 c 4.6 bc 19.8 c 10.9 c 52.9 b
Rockwool 23.6 ab 21.5 c 10.1 b 4.5 c 21.2 b 11.6 b 58.1 a
F-test ANSNSNSNS***NS
BNSNS**NS*******
A×BNS*NSNSNSNSNS

zSPAD value: Average valu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SPAD value of three leaves.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Table 3.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 of Capsicum annuum L. ‘Sirocco’ measured at 161 days after treatment initiation. Please refer to Fig. 1 for details of treatments.

Hydroponic
method
(A)
Media
(B)
Main
stem
length
(cm)
1st
branch
length
(cm)
2nd
branch
length
(cm)
Main
stem
diameterz
(mm)
Branch
stem
diametery
(mm)
Leaf
lengthx
(cm)
Leaf
widthw
(cm)
Leaf
areav
(cm2)
Fresh
weight
(g)
Dry weight
(g)
Leaf Stem Leaf Stem
Closed Coir 22.9 au 112.7 a 123.1 a 15.5 a 8.9 a 26.0 a 13.8 b 220.0 a 350.0 a 245.8 a 47.2 a 46.0 a
Rockwool 23.6 a 101.4 b 105.3 b 15.6 a 8.9 a 26.0 a 15.0 a 213.3 ab 326.7 a 224.3 ab 41.9 a 38.6 b
Open Coir 23.0 a 99.8 b 107.3 b 14.7 b 7.7 b 25.7 a 14.6 a 202.2 ab 330.8 a 207.2 b 42.5 a 35.6 b
Rockwool 22.8 a 102.2 b 104.1 b 14.4 b 7.8 b 24.1 b 13.9 b 183.5 b 347.8 a 203.6 b 43.8 a 35.3 b
F-test A NS*********NS*NS***NS***
B NSNS**NSNSNSNSNSNSNSNSNS
A×B NS**NSNSNS***NSNSNSNSNS

zMain stem diameter: Diameter of the stem just below the first node of main stem.

yBranch stem diameter: Diameter of the stem just below the branch of 2th fruiting group.

xLeaf length: Length of the leaf in the branch of 2th fruiting group.

wLeaf width: Width of the leaf in the branch of 2th fruiting group.

vLeaf area: Average valu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leaf area of three leaves.

u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12월 수확된 총 과실의 수와 무게, 정상과의 수와 무게 또한 재배 방식과 배지의 종류에 따른 처리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과실 품질에서 당도는 비순환 재배 방식의 암면 배지에서 높았다(Table 4). 중기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세력 약화로 인하여 착과가 불량하여 전체적으로 총 과실수와 무게가 줄어들었지만 처리 간 유의차는 없었다(Table 5). Dhakal 등(2005)은 28%의 유기물을 함유한 배지를 사용한 토마토 재배 시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의 생산량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고, 그와 유사하게 토마토 암면재배에서의 순환식과 비순환 수경재배의 차이의 연구에 따르면 배액 재사용에 의한 생육 및 수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상업용 재배온실에서도 경제적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하였다(Hao와 Papadopoulos, 2002; Zekki 등, 1996). 본 연구 결과 또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순환식과 비순환식의 배액 재사용 여부와 암면과 코이어 배지 처리에 따른 생육 및 과실 특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en-Oliel과 Kafkafi(2002) 멜론 순환식 연구 결과 생육 초기 단계 P 농도를 증가시키면 후기 과실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P는 줄기에 저장 기능이 있고, 생육 후기에 잎으로 전이되어 광합성 활성을 유지하고 과실이 발달될 수 있도록 광합성 동화산물을 적절하게 공급하게 한다. 착과 관리를 위해서는 P 농도를 더 증가시켜 후기 생육 저하로 인한 착과 불량만 관리한다면 친환경적인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순환식 재배 시 충분히 균일한 품질의 파프리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4.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 of Capsicum annuum L. ‘Sirocco’ measured in December 2021. Please refer to Fig. 2 for details of treatments.

Hydroponic method
(A)
Media
(B)
Total no. of fruits No. of healthy fruits No. of fruits with blossom-end rots No. of malformed fruits Ratio of healthy fruit Ratio of fruits with blossom-end rot Weight of total fruits
(g)
Weight of total healthy fruits
(g)
Weight of fruit (g) Height of fruit (mm) Width of fruit (mm) Sugar content (°Brix)
Closed Coir 18.5 az 17.0 a 1.3 a 0.2 a 0.89 a 0.09 a 3,740.5 a 3,469.7 a 218.1 ab 87.9 ab 82.2 a 6.8 a
Rockwool 23.8 a 23.0 a 0.3 a 0.5 a 0.97 a 0.02 a 4,356.9 a 4,271.2 a 207.3 b 81.9 b 85.1 a 7.2 a
Open Coir 24.3 a 23.3 a 0.7 a 0.3 a 0.96 a 0.02 a 5,251.0 a 5,076.4 a 235.1 a 91.8 a 84.4 a 7.0 a
Rockwool 14.0 a 13.5 a 0.5 a 0.0 a 0.90 a 0.10 a 2,720.7 a 2,644.1 a 203.4 b 86.2 ab 81.9 a 7.1 a
F-test A NSNSNSNSNSNSNSNSNSNSNSNS
B NSNSNSNSNSNSNSNS***NSNS
A×B NSNSNSNSNSNSNSNSNSNSNSN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

Table 5.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 of Capsicum annuum L. ‘Sirocco’ measured in January 2022. Please refer to Fig. 1 for details of treatments.

Hydroponic method
(A)
Media
(B)
Total no. of fruits No. of healthy fruits No. of fruits with blossom-end rots No. of malformed fruits Ratio of healthy fruit Ratio of fruits with blossom-end rot Weight of total fruits
(g)
Weight of total healthy fruits
(g)
Weight of fruit (g)
Height of fruit (mm) Width of fruit (mm) Sugar content (°Brix)
Closed Coir 24.1 az 22.8 a 0.0 a 1.3 a 0.94 a 0.0 a 4,173.1 a 4,060.3 a 198.1 b 81.2 bc 83.7 c 6.3 c
Rockwool 23.2 a 21.5 a 0.2 a 1.5 a 0.90 a 0.0 a 3,984.8 a 3,834.5 a 200.3 ab 79.0 c 86.4 bc 6.7 b
Open Coir 22.7 a 21.7 a 0.0 a 1.0 a 0.96 a 0.0 a 3,931.8 a 3,861.6 a 214.0 a 86.4 a 88.5 ab 6.6 bc
Rockwool 16.2 a 15.0 a 0.0 a 1.2 a 0.94 a 0.0 a 2,850.6 a 2,754.0 a 209.9 ab 83.7 ab 90.9 a 7.2 a
F-test A NSNSNSNSNSNSNSNS********
B NSNSNSNSNSNSNSNSNSNSNS***
A×B NSNSNSNSNSNSNSNSNSNSNSN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1 or 0.001 respectively.

파프리카는 겨울부터 이듬해 6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이 일반적이나 일부 고랭지에서 4월에 정식하여 8-11월에 생산하는 여름 작형도 이루어지고 있다(Rhee 등, 2015). 본 연구는 9월에 정식한 겨울 작형에 가까웠고, 정식 후 약 6개월 동안 진행하면서 착과 1그룹 수확 완료까지만 조사하였다. 배액의 이온은 11월부터 2월까지 4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배액의 무보정에 따른 양분불균형으로 후기 착과 불량이 나타나서 연구 수행이 어려웠다. 따라서, 생육 전반기에 국한된 결과임을 명시한다. 향후 보다 더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향후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양분 이온 변화 양상을 따라 2-4주 간격의 양액 보정 후 생육 결과 도출을 위한 전재배기간을 모니터링한 추가 시험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604802)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n C.G., Y.H. Hwang, G.M. Shon, C.S. Lim, J.L. Cho, and B.R. Jeong 2009, Effect of irrigation amount in rockwool and cocopeat substrates on growth and fruiting of sweet pepper during fruiting period. Hortic Sci Technol 27:233-238. (in Korean)
2
Ao Y., M. Sun, and Y. Li 2007, Effect of organic substrates on available elemental contents in nutrient solution. Bioresour Technol 99:5006-5010. doi:10.1016/j.biortech.2007.09.011 10.1016/j.biortech.2007.09.01117967534
3
Bando K., and H. Machida 1992, Establishment of the productive techniques of rock wool culture on tomatoes. IV. Effect of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s on the quality and yield in circular solution system. Bull Tokushima Agric Exp Stn 28:35-42.
4
Ben-Oliel G., and U. Kafkafi 2002, Melon fruit quality as affected by timing, duration, and concentration of phosphate and nitrogen sources in recycled hydroponic system. J Plant Nutr 25:1563-1583. doi:10.1081/PLN-120005408 10.1081/PLN-120005408
5
Choi G.L, K.H. Yeo, S.H. Choi, H.J. Jeong, S.Y. Kim, S.C. Lee, and N.J. Kang 2018, Effect on irrigation volume on ions content in root zone in soilless culture of tomato plant using coir substrate. Protected Hort Plant Fac 27:1-6. (in Korean) doi:10.12791/KSBEC.2018.27.1.1 10.12791/KSBEC.2018.27.1.1
6
Choi S.H., M.Y. Lim, G.L. Choi, S.H. Kim, and H.J. Jeong 2019, Growth and quality of two melon cultivars in hydroponics affected by mixing ratio of coir substrate and different irrigation amount on spring season. Protected Hort Plant Fac 28:376-387. (in Korean) doi:10.12791/KSBEC.2019.28.4.376 10.12791/KSBEC.2019.28.4.376
7
De Kreij C., W. Voogt, A.L. van den Bos, and R. Baas 1999, Vegetable crops guidelines: Fertilization advice substrates. Test Station for Floristry and Greenhouse Vegetables, Aalsmeer, The Netherlands, pp 122-123.
8
De Kreij C., W. Voogt, and R. Baas 2003, Nutrient solutions and water quality for soilless cultures. Research Station for Floriculture and Glasshouse Vegetables, The Netherlands, pp 1-32.
9
Dhakal U., V.M. Salokhe, H.J. Tantau, and J. Mas 2005, Development of a greenhouse nutrient recycling system for tomato production in humid tropics. Agric Eng Int 7:1-15.
10
Evans M.R., S. Konduru, and R.H. Stamps 1996, Source variation 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conut coir dust. HortScience 31:965-967. doi:10.21273/HORTSCI.31.6.965 10.21273/HORTSCI.31.6.965
11
Hao X., and A.P. Papadopoulos 2002, Growth, photosynthesis and productivity of greenhouse tomato cultivated in open or closed rockwool systems. Can J Plant Sci 82:771-780. doi:10.4141/P01-113 10.4141/P01-113
12
Hong K.C., B. Choi, K.J. Lim, J.H. Won, S.J. Jeon, S.O. Hur, S.K. Ha, N.W. Kim, J.E. Yang, and Y.S. Ok 2009, Effects of reclaimed wastewater and waste nutrient solution irrigation on seedling growth of Chinese cabbage. Korean J Environ Agric 28:171-178. (in Korean) doi:10.5338/KJEA.2009.28.2.171 10.5338/KJEA.2009.28.2.171
13
Hong Y.S., J.S. Lee, J.H. Baek, S.G. Lee, and S.O. Chung 2021,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s according to EC concentrations and substrates in paprika. J Environ Sci Int 30:605-612. (in Korean) doi:10.5322/JESI.2021.30.8.605 10.5322/JESI.2021.30.8.605
14
Ikeda H., and T. Osawa 1981, Nitrate- and ammonium-N absorption by vegetables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ammonium nitrate and resultant change of solution pH. J Jpn Soc Hort Sci 50:225-230. 10.2503/jjshs.50.225
15
Inden H., and A. Torres 2004, Comparison of four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omatoes. Acta Hortic 644:205-210. doi:10.17660/ActaHortic.2004.644.27 10.17660/ActaHortic.2004.644.27
16
Ishihara Y., H. Hitomi, and Y. Yamaki 2006, Effect of nutrient composition used in the closed hydroponics system with capillary uptake method on nutrient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organic substrates and yield of tomato. Hort Res 5:265-270. (in Japanese) 10.2503/hrj.5.265
17
Jun H.J., J.G. Hwang, M.J. Son, and H.S. Yoon 2009, Effect of NO3-N:NH4-N ratio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y 'Akihime' in hydroponic system. J Bio-Env Con 18:40-45. (in Korean)
18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20,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Sejong, Korea. (in Korean)
19
Kumar R.R., and J.Y. Cho 2014, Reuse of hydroponic waste solution. Environ Sci Pollut Res Int 21:9569-9577. doi:10.1007/s11356-014-3024-3 10.1007/s11356-014-3024-324838258
20
Lee G.B., Y.H. park, Y.W. Choi, B.G. Son, J.Y. Kim, N.J. Kang, and J.S. Kang 2017,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coir organic substrates for using strawberry hydroponics media. J Korea Soc Waste Manag 34:205-213. (in Korean) doi:10.9786/kswm.2017.34.2.205 10.9786/kswm.2017.34.2.205
21
Lee S., and Y.C. Kim 2019, Water treatment for closed hydroponic systems. J Korean Soc Environ Eng 41:501-513. (in Korean) doi:10.4491/KSEE.2019.41.9.501 10.4491/KSEE.2019.41.9.501
22
Lee S.S., and K.H. Park 2021, An experimental study of capillary imbibition in rockwool. Proc Korean Soc Mech Eng Fluid Eng Division 2021 Spring Conf, pp 230-231. (in Korean)
23
Park C.J., J.E. Yang, K.H. Kim, K.Y. Yoo, and Y.S. Ok 2005, Recycling of hydroponic waste solution for red pepper (Capsicum annum L.) growth. Korean J Environ Agri 24:24-28. (in Korean) doi:10.5338/KJEA.2005.24.1.024 10.5338/KJEA.2005.24.1.024
24
RDA 2018, Development of closed hydroponic technologies with an environment-friendly substrate in cultivation of export fruit vegetable. RDA, Wanju, Korea. (in Korean)
25
Rhee H.C., G.L. Choi, K.H. Yeo, M.W. Cho, and I.W. Cho 2015, Effect of fog-coo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 paprika in grown summer season. Protected Hort Plant Fac 24:258-263. (in Korean) doi:10.12791/KSBEC.2015.24.3.258 10.12791/KSBEC.2015.24.3.258
26
Roh M.Y. 2003, Nutrient solution recycling in closed hydroponics. Protected Hort Plant Fac 16:35-42. (in Korean)
27
Roh M.Y., G.L. Choi, H.C. Rhee, T.C. Seo, W.S. Kim, and Y.B. Lee 2009, Changes in nutrient element concentrations and growth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cv. Joeun Baegdadagi) as affected by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in recirculating hydroponic systems. J Bio-Env Con 18:363-369. (in Korean)
28
Roh M.Y., Y.B. Lee, H.S. Kim, K.B. Lee, and J.H. Bae 1997, Development of nutrient solution suitable for closed system in substrate culture of cucumber. Protected Hort Plant Fac 6:1-14. (in Korean)
29
Savvas D., and G. Manos 1999, Automated composition control of nutrient solution in closed soilless culture systems. J Agric Eng Res 73:29-33. doi:10.1006/jaer.1998.0389 10.1006/jaer.1998.0389
30
Shin W.G., and B.R. Jeong 2000, Growth of plug seedlings of petunia 'Madness Rose' and pansy 'Magestic GT' in various mixtures of recycled horticultural media. Hortic Sci Technol 18:523-528. (in Korean)
31
Son J., D. Choi, M. Kong, S. Yun, M. Park, and D. Kang 2019, The water quality and purification load assessment of drain water of facility horticulture areas. J Environ Sci Int 28:1199-1208. (in Korean) doi:10.5322/JESI.2019.28.12.1199 10.5322/JESI.2019.28.12.1199
32
Steiner A.A. 1980, The selective capacity of plants for ions and its importance for the composition and treatment of the nutrient solution. Acta Hortic 98:87-98. doi:10.17660/ActaHortic.1980.98.7 10.17660/ActaHortic.1980.98.7
33
Uronen K.R. 1995, Leaching of nutrients and yield of tomato in peat and rockwool with open and closed system. Acta Hortic 401:443-449. doi:10.17660/ActaHortic.1995.401.54 10.17660/ActaHortic.1995.401.54
34
Van Noordwijk M. 1990, Synchronisation of supply and demand is necessary to increase efficiency of nutrient use in soilless horticulture. Plant Nutri Physiol Appl 41:525-531. doi:10.1007/978-94-009-0585-6_87 10.1007/978-94-009-0585-6_87
35
Van Os E., J. van Ruijven, J. Janse, E. Beerling, M. van der Staaij, R. Leyh, C. Blok, and R. Kaarsemaker 2017, Comparison between emission-free cultivation on rock wool and coconut. WUR, the Netherlands, pp 1-49.
36
Zekki H, L. Gauthier, and A. Gosselin 1996, Growth, productivity, and mineral composition of hydroponically cultivated greenhouse tomatoes, with or without nutrient solution recycling. J Amer Soc Hort Sci 121:1082-1088. doi:10.21273/JASHS.121.6.1082 10.21273/JASHS.121.6.108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