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식물공장은 급격한 기후변화, 환경오염 문제와 식량부 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떠 오르고 있다. 최근 들어 인공광 식물공장 실용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 행되고 있다(Ikeda 등,1992; Heo 등, 2010; Inden 등, 2011; Lee 등, 2015; Lee 등, 2016).
케일(Brassica oleracea L. acephala)은 십자화과 채소 로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곱슬케일, 쌈케 일, 꽃케일 등이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폭넓게 재배되 고 있으며, 조혈작용, 청혈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영양학적으로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GLS)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Schmit 등, 2010). GLS는 Brasscica속 식물에서 생합성되는 대표적인 phytoalexin으로 100여종 이 존재하며(Pedras 등, 2011; Mithen, 1992), 질소와 황 이 함유된 이차대사 산물로 작물의 독특한 맛과 향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dras 등, 2011).
순무 잎에 4 종류의 GLS가 동정되었으며, 잿빛곰팡이 병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질임을 시사하고 있다(Kwon과 Kliebenstein, 2014). GLS는 식물체의 병해 충 저항성, 종자 내 발아억제 물질 활성, 천연 살균제 등 의 활성이 보고되었으며, 항암작용, 항세균 및 항산화 활 성을 나타내며(Glivetic 등, 2008; Angelini, 1998), 일부 화 합물은 가축이 섭취할 경우 고창증을 유발하는 것(Barth and Jander, 2006; Hansen 등, 2008; Mithen, 1992)으로 알 려져 있다. 형광등+적색 LED 조건에서 Bra029355 등 몇 종류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형광등+청색일 때 GLS의 합성이 증가하였다(Moon 등, 2015). Hertog 등(1992)은 케일에는 페놀 물질(Jahangir 등, 2009), 플라보노 이드의 일종인 kaemperol은 211mg·kg-1으로 양파(2mg·kg-1), 브로콜리(72mg·kg-1)보다 월등히 높다고 보고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황과 질소를 함유한 십자화과 식 물의 2차대사산물로 알려져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구 조와 아미노산의 선구물질에 따라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이나 valine에서 유래한 aliphatic glucosinolates, phenylalanine이나 tyrosine에서 유래한 aromatic glucosinolates, tryptophan에서 유래한 indole glucosinolates 등 3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Ivana et al., 2008).
케일은 소비량의 증가에 따른 주년 소비 패턴 정착시 키기 위하여 식물공장에서 안정적인 생산과 기능성 연구 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케일 인공광 식물공장 에서 인공광원에 따른 생육과 GLS 등 품질에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개요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전주 식물공장 에서 수행하였다. 2015년 3월 10일 스펀지(28×28mm) 파종하여 105구 육묘 트레이에서 육묘하였다. 4월 14일 정식하여 5월 26일 수확을 종료하였다.
처리내용 및 재배관리
케일의 광원을 달리하여 LED B:W(1:1, BW), R:B:W(2:1:3, RBW), B:W(1:1)+형광등(BW+FL) 등 3처 리를 하였으며(Fig. 1), 각 재배장치는 분무경 방식으로 광원을 적색, 청색, 적색의 광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BW+FL 처리구는 베드(길이 2,100mm) 상단 LED 밑에 T5 형광등을 19개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인공광원은 작물과의 높이를 조절과 자체 광량을 조절하 여 광량자속 밀도를 150μmol·m-2·s-1로 맞추었다. 분무경 베드는 2,100×800×300(mm)이었으며, 바닥에서 분무경 재배장치 상단까지 높이는 112cm이었다. 재배장치의 외 관 크기(가로×세로×높이)는 2,200×800×1,870(mm)이었다. 표준 배양액은 일본원시 표준액(N-P-K-Ca-Mg=17.33-4-8-8-4me·L-1)을 사용하였으며, 양액 공급은 24시간 공급 하였다. 배양액의 pH와 EC는 각각 6.2과 1.5ds·m-1으로 주기적으로 보정하였으며, 배양액은 2주 간격으로 전량 교체하였다. 식물공장의 일장은 12시간이었으며, 재배실 온도는 22±0.5°C이고, 습도 50%이었다. 이산화탄소는 별 도로 시용하지 않았으며, 400±100μmol·mol-1이었다.
생육 조사 및 성분 분석
케일의 생육과 수량 특성은 농업과학기술연구조사분 석기준(농촌진흥청, 2012)을 따랐으며, 엽장, 엽폭, 엽수, 엽록소 함량, 생체중, 건물중 등을 측정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GL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결 건조된 시료 100mg을 취하여 1mL의 70% methanol를 넣어 60분간 중탕시켜 추출 후 4°C, 10,000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반복하여 침전물을 재추출하여 상 등액을 모았다. Crude GSL 추출물을 Mini Bio-Spin chromato-graphy column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에 load 하였다. 컬럼은 0.5mL의 DEAESephadex A 25 anion exchange resin으로 충진되었으며, 분석 전에 0.1M sodium acetate (pH 4.0) 용액으로 활성 화시켰다. 그 후 추출액을 DEAE column에 흘렸다. Sulfatase 200μL 넣고 밀봉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 였다(EC 3.1.6.1, type H-1 from Helix pomatia). Desulfo- GSLs를 3차 증류수 1.5mL로 3회 추출하고 0.2μm syringe filter로 filtering하였다. Agilent technologies 1260 Infinity HPLC system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을 분석하였으며, column은 Acquity UPLC® BEH-C18 column (1.7μm, 2.1×100mm; Waters Co.)을 사 용하였다. Photodiode array (PDA) detector로 229nm에서 검출하였다. Solvent는 모두 0.2μm로 filtering하였고, solvent A는 100% water이며, solvent B는 20% acetonitrine (ACN)을 사용하였다. Flow rate는 분당 0.2μL이었으며, Retention time은 25분이었다. Gradient는 시작은 A 99%, B 1%이며, 6분까지 A 1%, B 99%로 변화를 주고, 6 분부터 14분까지는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14분부터 15분까지 A 99%, B 1%로 변화를 주고 25분까지 유지 하였다.
수분 함량은 신선 엽을 열풍건조기로 80°C와 105°C에 서 측정하였다. 조단백은 분쇄 시료 1.0g과에 kjeltabs 2 알과 황산 12mL를 넣고 분해하여 조단백 정량 장치 (Kjeltec 2300, Foss, USA)로 분석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ether를 NaOH로 탈수 soxhlet 고체 연속 추출기로 6시 간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조회분은 시료를 회화로 200°C 에 2시간 태운 후 600°C에 4~5시간 태워 측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수확 엽수는 BW+FL에서 14.4개로 BW 12.5개와 RBW 12.3개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Table 1). Lee 등(2016)의 보고에 의하면 광질에 따른 방풍의 수확 엽 수는 RB, RBW, RBGW 등 LED 처리보다 형광등 처리 에서 19.7개로 가장 많았다. 수확 엽 생체중은 BW+FL 이 93.9g/plant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BW가 74.4g/plant1, RBW가 66.2g/plant로 처리마다 유의성을 나타냈다. 방 풍나물의 엽중은 LED RBW(2:1:3)와 RB(1:1)가 형광등 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Lee 등, 2016). BW+FL 에서 케일의 수량이 높았던 것은 BW에 연속 파장인 FL 을 보강하여 생육을 극대화 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엽 건 물중은 수확 엽수와 같은 경향으로 BW+FL이 9.7g/ plant으로 가장 무거워 다른 처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건물율은 RBW에서 8.8%로 가장 높았다. 로메인상추의 엽 건물중이 R:B:W(1:1:1)보다 R:B(1:1)에서 높았으나 (Kim 등, 2014), Lee 등(2016)은 방풍나물의 엽 건물중 은 LED 구성비를 달리 했을 때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 타내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LED 조합 비율이 다 르고 작물에 따라 달라 생육 반응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reatments | No. of harvested leaves | Fresh leaf weight (g•plant-1) | Dry leaf weight (g•plant-1) | Percentage of dry matter (%) |
---|---|---|---|---|
BW | 12.5 bz | 74.4 b | 9.1 b | 8.6 b |
BW+FL | 14.4 a | 93.9 a | 9.7 a | 8.4 c |
RBW | 12.3 b | 66.2 c | 9.0 b | 8.8 a |
엽병장은 처리에 따라 5.1~5.6cm로 처리간에 유의성 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엽장은 BW에서 18.8cm로 다른 처리보다 작았다(Table 2). 엽폭은 RBW(2:1:3)에서 14.4cm로 가장 넓어 다른 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 타냈으나, 엽후는 처리간에 0.037~0.040mm로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식물공장에서 재배한 방풍나 물의 엽장과 엽후는 인공광원에 따라 차이가 없으나, 엽 폭은 형광등과 RB(1:1)에서 우수하여 RBW(2:1:3)와 RBGW(2:1:0.5:3) 처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Lee 등, 2016)고 보고하였다. ‘콜라로사’ 상추의 생육은 적청 혼 합광에서 우수하였고(Shin 등, 2012), ‘홍하 적축면’ 상 추의 생육이 적청 혼합광보다 단색 적색광에서 높았다 (Lee, 2010)고 보고하였다. 결과적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 라, 같은 작물이라도 품종에 따라 LED에 대한 생육 반 응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reatments | Petiole length (cm) | Leaf length (cm) | Leaf width (cm) | Leaf thickness (mm) |
---|---|---|---|---|
BW | 5.1 a | 18.8 b | 12.1 b | 0.039 a |
BW+FL | 5.4 a | 20.5 a | 13.0 b | 0.040 a |
RBW | 5.6 a | 19.0 ab | 14.4 a | 0.037 a |
광원에 따른 엽록소 함량은 57.3~59.3으로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명도도 같은 경향이었다(Table 3). ‘a’ 값과 ‘b’ 값은 BW와 RBW에서 가장 낮았다.
Treatments |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 Hunter s color value | ||
---|---|---|---|---|
L | a | b | ||
BW | 59.3 a | 33.07 a | 7.14 ab | 8.14 a |
BW+FL | 58.3 a | 34.64 a | 6.51 b | 7.15 b |
RBW | 57.3 a | 32.98 a | 7.31 a | 8.68 a |
글루코시놀레이트와 조단백질 함량
Glucosinolates(GLS)의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glucobrassicin( GLBR), glucoiberin(GLB), sinigrin(SIN), gluconasturtiin( GLN), progoitrin(PRO), glucoraphamin(GLP), epiprogoitrin( EPI)순으로 많았다(Fig. 2). BW+FL 처리에서 PRO, EPI, SIN, GLP, GLN의 함량이 높았고, RBW에 서는 GLB, GLBR, total GLS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청색과 백색 파장 처리구인 BW에서 각종 GLS의 함량 이 낮았고, BW+FL에서 형광등의 연속파장과 적색광이 포함된 RBW 처리에서 높았다. 단일 파장보다 여러 종 류의 파장, 여러 종류의 파장보다 연속 파장이 GLS 함 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었다.
십자화과 채소의 자극취 및 쓴맛 등을 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런 glucosinolate를 섭취하면 분해산물이 약리 적 또는 생리적 활성을 나탄낸다고 보고 하였다(Zhang와Tallay, 1994). 콜리플라워, 방울다다기 양배추, 배추, 브로 콜리 등 십자화과 작물의 glucosinolate 분해 산물은 암 유발 억제하는 특성이 있다(Fahey 등, 2001). 식물은 스 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 어기작의 하나로써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이차대 사산물을 생합성하여 식물체내에 축적하게 되는데(Dixon 와 Paiva, 1995), 흥미롭게도 이러한 기능성 물질이 인체 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Lee 등(2012)은 파종 후 6일째 케일 새싹의 주 요 GLS는 progoitrin, gluconapin, sinigrin, glucoerucin, glucoraphamin, glucoiberin, 4-hydroxyglucobrassicin 순으 로 많았다고 보고하였는데, GLS의 종류와 함량이 본 실 험의 결과와 다소 상이한 것은 식물노화 때문이라고 생 각된다.
케일의 잎을 분석한 결과, 인공광원 처리에 따라 수분 함량은 88.46~90.92%이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2.97 ~3.13%, 조지방 함량은 0.13~0.15%, 회분 함량은 1.84 ~1.97%로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Table 4).